늦었지만 백신 접종 하루라도 앞당겨야

입력
2020.12.25 04:30
23면

정부가 24일 해외 개발 코로나19 백신 중 얀센과 화이자 제품의 선구매 계약을 마쳤다고 밝혔다. 마지막 임상 중인 얀센은 당초 400만명분 구매 계획을 600만명분으로 늘려 내년 2분기에 도입하고, 화이자 백신은 1,000만명분을 내년 3분기에 들여온다고 한다. 이미 계약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영국에서 사용 승인을 눈앞에 두고 있어 이르면 2월 중 국내에 들여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별개로 공급 시기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국제공조체제인 코백스(COVAX)를 통해서도 1,000만명분 백신을 확보한 상태다.

코로나19 백신은 화이자, 모더나 백신이 일부 국가에서 승인 나 접종이 시작됐고,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도 조만간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백신이 만능은 아니지만 집단면역 없이 코로나 종식이 어려운 만큼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전체 코로나 사망자 숫자가 32만명을 넘지만 효과적인 방역 대책을 찾지 못하는 미국 같은 나라가 특히 백신에 사활을 거는 이유다.

미국과 유럽을 비롯해 멕시코, 싱가포르까지 접종 준비에 들어간 상황에 비해 국내 백신 공급이 뒤진 것은 사실이다. 긴급사용인 만큼 안전성을 지켜봐야 한다는 정부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다른 나라의 접종을 지켜보는 국민의 낭패감은 당연하다. 안전성을 늦은 구매의 변명거리로 삼을 것도, 정부 비판을 불안 조성이라고 몰아붙일 이유도 없다. 약속대로 정부·여당이 백신 접종 로드맵을 마련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하루라도 공급을 앞당겨야 불안을 잠재울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한발 늦은 백신 구매를 코로나 방역의 실패로 몰아가는 정치권과 일부 언론도 자제해야 한다. "백신 후진국으로 전락하고 있다"거나 미국은 리더십을 발휘해 "백신 싹쓸이" 하는데 우리는 뭐하냐는 식의 비난은 사실도 아닐 뿐더러 국제 공조가 절실한 사안에 자국 이기주의를 앞세우자는 주장에 다름 아니다. 방역 혼란을 부추겨 국민만 더 불안하게 할 뿐이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