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 부족 사태 민간 병원 동참 절실하다

입력
2020.12.15 04:30
27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숫자가 주말을 끼고 주춤했지만 14일에도 700명대를 기록하면서 병상 부족이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 코로나 중증 환자 입원 가능 병상은 전국에 48개뿐이다. 확보된 치료 병상의 90% 이상이 찼다는 뜻이다. 확진자가 몰린 수도권은 지역별로 남은 병상이 서너 개 수준이고, 대전 충남 전북 등은 가용 병상이 아예 없다. 당장 입원 대기 상태에서 숨지는 환자가 발생해도 하나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실제로 부족한 건 코로나 치료를 전담하고 있는 공공병원의 병상일 뿐 국내에 치료할 곳이 없는 건 아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인구당 병상이 가장 많은 나라다. 문제는 공공병원 비율이 전체의 10%에 불과해 평균 70% 이상인 OECD 국가 최하위권이라는 점이다. 최근 정부가 공공병원 중심으로 확보했다는 200여개 중환자 병상은 국내 전체 중환자 병상의 2% 정도에 불과하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전날 1만개 병상 연내 확보 계획과 함께 중장기 공공병원 확충 방안을 발표했다. 보건의료단체들이 기회 있을 때마다 소리 높였던 정책을 어려움이 닥쳐서야 적극 실행하겠다는 정부의 태도는 비판 받아 마땅하다. 겨울철 감염 확산에 대비한 병상 확보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도 진작 있었으니 이 또한 뒷북 대응이 아닐 수 없다. 늦었지만 계획대로 병상 확보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

상급종합병원 중심의 민간병원도 병상 협조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길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진료 차질 등 부담이 적지 않겠지만 재난 상황에서 수지타산을 따질 일이 아니다. 지난 2월 대구·경북 감염 때 겪었던 병상 부족은 타지역에서 환자를 수용하고 무엇보다도 경북대병원 등 지역 대형병원들이 적극적으로 병상을 제공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설득으로 민간 병상 확보가 안 된다면 정부로서도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긴급동원명령밖에 선택의 길이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