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인 가구 "주거안정 지원 가장 필요"

입력
2020.11.25 12:27


서울에서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주거안정 지원정책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서울시가 관내 거주하는 만 18~65세 시민 1,000명(1인 가구 500명, 2인 가구 이상 500명)을 대상 설문조사 결과, 1인 가구를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이 필요한 정책(복수 응답)으로 주거안정지원(5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주거안정지원은 전 연령대에 걸쳐 남녀 모두 50% 이상이 1순위로 꼽아, 나날이 치솟는 집값과 전월세 부담이 그만큼 크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어 기본소득지원(31.1%), 연말정산 소득공제 범위 확대(19.3%), 취업지원(16.3%), 대출금리 인하(15.2%) 순이었지만, 여성과 20ㆍ60대는 ‘방범/치안 등 안전 확보(22.7%)’, 50대는 ‘고독사 예방 등 사회적 관계망 지원(22.7%)’, ‘건강보험료 지원(15.6%)’이 5순위 안에 들 정도로 관심을 보여 성별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

그래도 1인 가구 중 40.9%는 ‘서울시가 1인가구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사회’라고 생각했고, 62.8%는 ‘계속해서 1인가구로 남기를 원한다’고 답했다. ‘간섭받지 않는 독립된 생활’(73.1%), ‘나 자신을 위한 투자ㆍ지출 가능’(31.1%), ‘효율적인 시간 활용’(30.3%) 등에 만족했기 때문이다.


다만 혼자 사는 서울시민이 항상 더 행복하지는 않았다. 2인 이상 다인가구와 비교한 1인가구 행복도는 30대까지는 높았으나 40대 이후부터는 낮아졌다. 개인 재정상태 만족도, 사회생활 만족도, 건강상태 만족도는 40대부터, 직업 만족도는 50대부터 크게 감소했다.

또, 1인 가구의 30.1%는 ‘서울은 1인가구가 살아가기 적합하지 않은 사회’라는 반응을 보였다. ‘1인 가구는 여러 문제가 있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족한 사람’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존재한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도 35.9%였다.

지난해 서울의 1인 가구는 약 130만 가구로 1980년(8.2만 가구) 보다 약 16배 증가해, 전체 380만 가구의 33.9%를 차지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1인 가구 정책은 성ㆍ연령ㆍ직업 등 가구의 특성에 따라 정책수요가 다양해지고, 생애주기별 복지정책 수립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며 “1인 가구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해 다양해지는 정책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민식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