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국가정보원장에 이어 더불어민주당 중진인 김진표 의원도 한일의원연맹 회장 자격으로 12일 일본을 방문한다. 지난 9월 스가 요시히데 총리 내각이 출범한 이후 경색 중인 한일 관계를 풀어보려는 물밑 움직임이 전에 없이 부산하다. 마침 한미일 3각 협력 복원을 강조하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을 관계 개선의 호기로 삼아볼 만하다.
박 원장은 10일 오후 총리 관저에서 스가 총리를 예방했다. 스가 총리가 취임 이후 우리 정부 고위급 인사를 만난 건 처음이다. 박 원장은 9일에는 자민당 2인자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도 만났다. 오랜 정치 이력으로 일본 정계와 많은 인연을 쌓은 박 원장이 방문한 만큼 문재인 대통령 친서 전달 가능성과 함께 이번에는 돌파구가 열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역시 양국 사이 최대 난제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다. 그간 한일 양국 기업과 국민(1+1+α)이 자발적으로 낸 성금으로 재단을 설립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위자료를 지급하자는 이른바 문희상안이 중재안으로 제시됐지만, 어느 쪽도 수용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그런 만큼 박 원장이 문희상안을 일부 손본 절충안을 제시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김진표 의원이 방일을 앞두고 아사히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강조한 대로 “우리가 바라는 것은 한국 국민이 받은 정치적 상처에 대한 사과”라는 원칙론을 유지하되, “문제 해결에는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는 유연성을 발휘한다면 절충안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일본도 압류된 자국 기업 자산 매각 절차는 사법부 영역이라는 걸 모르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정부가 매각 절차 중지를 약속해야 연말 한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는 막무가내 주장을 접어야 한다. 오랜만에 조성된 대화 분위기를 흘려 보내면 두 나라 모두 손해다. 강제징용 문제의 즉각 해결이 어렵다면 양국이 미래지향적으로 함께 나가자는 정치적 선언이라도 도출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