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정규·비정규직 동반 감소... 월급 격차는 '역대 최대'

입력
2020.10.27 22:00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비정규직 고용에 더 큰 타격을 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임금이 오르는 사이, 비정규직 임금은 떨어져 임금 격차는 역대 최대인 150만원을 넘어섰다.

코로나가 더 서러운 비정규직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기준 임금근로자는 2,044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3,000명 감소했다. 임금근로자는 자영엽자나 무급가족종사자를 제외한 취업자다. 규모가 줄어든 것은 2003년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코로나19가 인구 증가에 따른 자연스런 임금근로자 확대까지 저지한 것이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은 5만5,000명, 정규직은 5만8,000명 줄어 감소폭이 비슷했다. 하지만 비정규직 규모(742만6,000명)가 정규직(1,302만명)보다 작아 감소율은 더 컸다. 비정규직이 전체 임금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3%로 1년 사이 0.1%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다.

비정규직 중에서도 양상이 갈렸다. △근로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았지만 계약의 반복 갱신을 필요로 하거나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비기간제 근로자'는 67만5,000명으로 작년보다 31만명(31.5%)이나 급감했다. 이에 따라 '기간제 근로자'가 13만3,000명 늘고도 전체 '한시적 근로자'는 17만7,000명 줄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고용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계속 근무를 할 수 없게 된 비정규직이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시간제 근로자'는 9만7,000명 급증했다. 정부가 매년 규모를 키우는 노인 일자리가 모두 시간제 근로자로 잡히기 때문이다. 실제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비정규직은 1년 사이 19만5,000명 늘어나며 전체 연령대에서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산업별로도 노인 일자리가 많은 보건사회복지에서 비정규직 증가폭(15만명)이 컸다. 특수고용노동자(특고) 등 '비전형 근로자'는 2만8,000명 늘었다.

더 벌어진 임금격차

코로나19는 임금 격차도 키웠다. 올해 6~8월 비정규직 월평균 임금은 172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1만8,000원 줄었다.

반면 정규직 월평균 임금이 316만5,000원에서 323만4,000원으로 오르면서 임금격차는 지난해 143만6,000원에서 152만3,000원으로 확대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올해 6~8월 일시휴직자가 전년대비 3배 정도 늘었다"며 "일시휴직자 중 무급 휴직자도 있기 때문에 임금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고 했다.

한편 비정규직은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87만명이 급증한 뒤 올해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당시 통계청은 "'고용 예상 기간'을 묻는 추가 질의로 기간제 근로자 35만~50만명이 추가로 잡혔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비기간제·기간제 간 착각, 오해, 추가포착 등에 의한 정규직·비정규직 답변 변경은 거의 일어날 수가 없다"면서 "문재인 정부의 명백한 일자리 정책 실패"라고 주장했다.

세종= 손영하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