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액만 136조원... 각광받던 P2P 폐업에 中 '금융난민' 속출

입력
2020.10.21 12:30
8월 말 기준 15개만 살아남아
2년 전 비교하면 99.5% 감소

급성장하던 중국의 개인 간 거래(P2P) 금융시장이 사실상 붕괴하면서 손실을 떠안은 '금융난민'이 속출하고 있다. 손실액만 136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세계적인 핀테크기술 성장에 각광받던 P2P에 큰 수익을 기대했던 투자자들은 금융당국으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P2P 금융시장 붕괴로 적어도 수백만명의 중국인이 손실을 입었고 그 손실액이 6월 말 현재 8,000억위안(약 136조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중국 금융당국이 2017년부터 부실업체 단속에 들어갔고 문을 닫는 업체가 속출하기 시작한 결과다. 중국 은행보험규제위원회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영업 중인 P2P 대출 플랫폼은 15개로 2년 전(2835개)과 비교하면 99.5%가 급감했다. P2P 시장이 사실상 사라진 셈이다. 투자자 수 역시 지난해 초부터 올해 8월 말까지 88%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P2P 시장이 처음 열릴 당시에는 대출과 투자가 손쉽고 효율적이라 큰 인기를 끌었고 중국 정부도 이를 적극 허용했다. 하지만 정부 관리ㆍ감독의 사각지대에서 업체가 난립하더니 다단계 사기로 밝혀지는 등 금융범죄가 만연했다. 2016년 적발된 이즈바오 사건은 당국이 P2P 단속을 본격화 한 계기가 됐다. 이는 고수익을 미끼로 2014년 6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약 90만명의 투자자들로부터 500억위안(약 8조5,000억원)을 빼돌린 다단계 사기 사건이다.

SCMP는 금융전문가를 인용해 "중국의 금융 불황, 즉 저금리와 규제 감독 부재로 P2P 시장이 번창했다"면서 "여기에 이런 '자유'를 누려본 적이 없었던 순진한 대중들은 무작정 '해보자'는 식으로 뛰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현행법상 투자자 원금 회수 등 구제책이 전혀 제시되지 않은 상태라 결국 정부의 보호를 받지 못한 '금융 난민'들이 소송을 벌이기도 했으나 큰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분위기다. 자오시쥔(趙錫軍) 런민대 재정금융대학원 부학장은 "이런 경우 소송보다 합의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진달래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