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동물을 맛보러 가시렵니까?

입력
2020.10.13 14:40
25면


"강아지와 산책하며 사진을 찍게 해드립니다." 얼마 전 경기 안성시의 한 풍산개 농장에서 강아지와 산책하며 사진을 찍는 체험이 논란이 되었다. 프로그램 광고를 보면, ‘우리 민족의 자랑인 용맹하고 영리한 우리의 토종견 풍산개와 즐거운 한때’를 보낼 수 있다고 쓰여 있다. 농장에 있는 생후 2,3개월의 강아지들이 ‘풍산개 체험’에 동원된다. 동물 체험이라는 명목하에 2시간 동안 강아지를 대여해주고 산책하며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 주는 상품이다. 2,3개월령의 강아지는 사람의 나이로 치면 고작 2~4세 정도. 돈을 낸 낯선 사람의 손에 이끌려 갓난아기나 다름없는 강아지들은 두 시간 동안 강제로 끌려 다닌다.

수년 전, 한 방송 프로그램 때문에 들렀던 지방의 체험농장이 떠올랐다. 그 농장은 아기 동물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었다. 타조, 당나귀, 아기 염소, 양 등이 있었다. 동물을 체험하고 싶은 어린이들이 주된 고객으로 보였다. 젖먹이 새끼 동물이지만 어미와 분리되어 따로 있었고, 손님이 없는 날인데 여물통에는 먹이가 없었다. 누군가 건초를 사서 먹이를 줄 때까지는 거의 굶는 듯했다. 무엇보다도 물이 공급되지 않아 새끼 양들은 계속 비에 젖은 여물통을 핥고 있었다. 손님이 없는 날이라 상점이 문을 닫아 생수병에 물을 담아 여물통에 부어주고 먹이를 찾으러 여기저기 헤맸던 기억이 난다. 그때 서로 물을 먹겠다고 몰려오던 새끼 양들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

풍산개 농장과 유사한 체험 프로그램은 많다. ‘동물 체험’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농장에서 홍보하는 아기 동물 체험, 먹이주기 체험, 실내동물원 등 전국 곳곳에 동물 체험 프로그램이 성행한다.



‘체험’의 사전적인 뜻은 ‘자신이 몸소 겪음. 또는 그런 경험’이다. 이 말이 내포하는 의미는 어렵거나 경험하는 일을 치르는 ‘겪다’부터 간단한 ‘맛보기’까지 범위가 넓다. 사람을 겪어보고, 손님을 겪어보고, 친구를 겪어보는 실제로 경험하는 것이 체험의 진짜 의미다. 한데 우리는 체험을 ‘맛보기’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혹자는 맛보기식 체험이 뭐가 나쁘냐고 되물을 수 있다. 물론 ‘맛보는’ 자체는 나쁜 게 아니다. 대상이 동물이라는 데 문제가 있다. ‘맛보다’의 의미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어떤 기분을 느끼는 수준이다. 사물이나 현상을 체험하는 경우엔 주체인 내가 느끼는 기분만 존재한다. 하지만 상대가 생명체인 경우는 다르다. 동물은 사물이 아니다. 내가 어떤 기분을 느끼는 동안 상대방인 동물이 느끼는 영향을 생각해야 한다.

풍산개 ‘맛보기’ 체험은 동물 인형 놀이와 다르지 않다.

2시간 동안 대여해 강아지를 학대하지 않고 예뻐해주는데 뭐가 문제냐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린 강아지는 하루에 16시간 정도를 자야한다. 충분한 식사와 물이 제공되어야 하는 건 기본이다. 강아지 체험을 하는 동안 상대방인 강아지는 기쁘지 않다. 피곤하고 지치고, 대여자가 주는 음식을 먹고 나중에 탈이 날지 모른다. 인형놀이에 시달려 전염병에 감염될 수도 있다. 게다가 인형으로 이용되던 강아지들은 몇 개월 지나 몸집이 커지면 축사로 옮겨져 번식용으로 쓰인다. 이것이 진정한 ‘체험’일까.

내 기분이 좋고 행복하다고 해서 상대도 좋으리란 보장이 없다. 특히 맛보기식인 일방적인 주체 위주의 기분을 느끼는 경우에는 상대방은 도구가 되기 쉽다. 좋은 친구를 맛보았다고 표현하지는 않는다. 동물과 만나는 경험은 상호작용임을 기억하자. 동물과 만나는 것은 맛보기가 아니라 ‘겪는 일’이 되어야 한다.

이번 주말, 야외로 나갈 계획에 동물을 만날 계획이 있다면 이것만 기억하자. 동물 체험은 ‘맛보는’ 것이다. 라쿤을 맛보고, 풍산개를 맛보고, 농장 동물을 맛보는 지극히 이기적인 체험이다. 체험 동물원, 체험 동물농장 등은 원래 의미대로 동물을 ‘맛보는 곳’으로 바꾸어야 적합하다. 이번 주말 당신은 동물을 ‘맛보러’ 갈 것인가.

박정윤 올리브동물병원장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