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발원지면서도 빠르게 감염병 위기를 극복한 중국 경제가 ‘나홀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추락을 거듭하는 세계 각국과 달리 플러스 성장으로 반등에 성공하며 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오히려 늘릴 것으로 보인다. 기축통화 달러의 대항마로서 위안화의 위상도 한층 공고해졌다. 다만 중국의 약진이 부유층에 집중된 '편식 성장'이라는 점에서 넘어야 할 산은 분명 있어 보인다.
미국 CNN방송은 11일(현지시간) 올해 전 세계 GDP에서 중국의 비중이 전년보다 약 1.1%포인트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지난해 증가분의 3배가 넘는 규모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글로벌 경제 위축과 중국의 선방이 동시에 일어난 결과다. 방송이 세계은행(WB)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올해 중국 GDP 추정치는 약 14조6,000억달러(1경6,826조원)로 세계 GDP의 17.5%에 달한다. WB는 6월 글로벌 GDP는 5.2% 감소하는 반면 중국은 1.6%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CNN은 “중국이 코로나19 사태에서 비교적 빠르게 벗어났고 막대한 재정 투입 등의 성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끝장 대결로 치닫는 미중 갈등 사태에도 ‘세계 공장’으로서 중국의 입지는 굳건한 모습이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루이스 쿠이즈 수석경제학자는 “미국 다국적기업 다수가 여전히 중국과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코로나19를 떨쳐내고 공장 가동에 성공해 세계 공급망에서 역할을 되레 강화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경제에 대한 낙관론은 위안화를 향한 기대로도 이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최근 위안화 초강세 흐름에 주목하며 “금융시장에 위기가 닥칠 때 위안화를 엔화나 스위스프랑처럼 안전통화로 볼 여지가 있다는 논리가 최근 몇 주간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금융산업의 제도적 개혁 없이는 위안화 위상이 더 높아지기 어렵다"는 단서를 달긴 했으나, 최근 중국 경제에 대한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물론 성장세 및 영향력 유지를 위해 풀어야 할 과제는 적지 않다. 코로나19로 더욱 벌어진 빈부격차 해소가 가장 시급하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다른 나라들처럼 중국 빈민계층과 농촌 인구에게도 감염병은 큰 타격을 줬다”고 진단했다. 중국 농촌 이주 노동자의 올 2분기 월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7%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 내수 활성화를 꾀하는 중국 공산당의 전략을 달성하는 데 빈부격차는 최대 걸림돌이다.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일각에선 중국 정부가 부의 분배 시스템을 개혁하지 않고 성장 동력을 국가 주도의 투자ㆍ수출에서 국내 소비 지출로 전환할 수 있을지에 의문을 표하고 있다”고 했다.
국제 경제의 불확실성도 중국에 부담이다. 무엇보다 진행형인 미중 갈등이 어떻게 흘러가느냐에 따라 성장세는 일거에 꺾일 수도 있다. 실제 SCMP는 5개년 국가 경제계획을 결정하기 위해 26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5중전회)가 어느 해보다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중국런민대의 국제문제 전문가인 스인홍(時殷弘) 교수는 “과거 5개년 계획 초안을 작성할 때보다 국제적 불확실성이 훨씬 커졌다”며 “경제ㆍ외교ㆍ산업 전선에 강한 역풍이 불면서 장기 전략 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