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흡연자가 무단투기한 담배꽁초 8억개비가 거리 우수관(빗물받이)을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분석됐다. 담배꽁초는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돼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킨다. 정부는 최근 5년간 폐기물 부담금 명목으로 담배회사로부터 총 3,719억원을 걷어들였지만, 담배꽁초 처리와 관련한 대책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은미 정의당 의원실이 환경부로부터 제출 받은 '담배꽁초 관리체계 마련 연구용역'에 따르면 하루 평균 길에 버려지는 담배꽁초는 1,246만6,968개비로 추정된다. 이 중 빗물받이를 타고 바다로 유입되는 양은 하루 45만5,233~231만7,352개비로, 연간 1억6,000~8억4,000여개비로 산출됐다.
특히 담배꽁초의 필터 성분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는 바다에서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돼 해양생물에 치명적이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담배꽁초 해양 유입량이 전량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된다면 하루 약 0.14~0.7톤의 미세플라스틱이 국내 인근 바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11일~8월 8일 환경운동연합이 전국 17개 지역의 시민 66명과 전국 해안에서 수집한 3,879개의 쓰레기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수거된 쓰레기도 담배꽁초(635개)였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담배꽁초 처리에 대해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는 국내 담배회사로부터 최근 5년간 연평균 743억원, 총 3,719억원의 폐기물 부담금을 걷었지만, 관련 사업 예산으로는 한 푼도 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담배꽁초 수거함 설치를 하는 정도다. 그나마 이조차 화재 위험과 미관상의 이유로 확대가 힘든 현실이다. 담배꽁초 무단투기는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시에 따르면 담배꽁초 무단투기 단속 건수는 2015년 6만5,870건에서 2018년 7만2,190건으로 늘었다.
강은미 의원은 "정부는 담배꽁초 관련해 부담금만 걷고 사업자에 면죄부를 주고 있다"며 "해양 투기에 대한 사업자 책임을 강화하고 구체적인 수거ㆍ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