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대기업들의 임금인상률이 지난해의 3분의 2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주요 대기업을 대상으로 단체교섭 현황 및 노동현안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금협상을 완료한 46개사의 최종 타결된 임금인상률은 평균 1.9%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최종 타결된 임금인상률은 평균 3.1%였다.
한경연에 따르면 올해 최종 타결된 임금인상률은 노조가 요구한 임금인상률과 2.5%p의 차이를 보였다. 임금협상을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86개사의 노조가 요구한 임금인상률은 평균 4.4%로 지난해 6.3%에 비해 1.9%p 감소했다.
기업들은 지난해보다 경영 사정이 안 좋아지면서 임단협 교섭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보다 '교섭 과정이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37.5%로 '원만하다'고 응답한 15%의 두 배를 훨씬 웃돌았다. 올해 경영실적에 대해서는 '작년보다 악화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이 54.1%로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21.7%)의 2.5배에 달했다. 한경연은 "올해 기업들의 경영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노조 측의 임금인상 요구안과 최종 타결 수준이 전년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들은 노동부문 현안 중 기업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쟁점으로 근로시간 단축(60%)과 최저임금 인상(47.5%)을 꼽았다. 아울러 국회에 발의됐거나 발의가 점쳐진 노동법안 중 가장 우려된 분야는 1년 미만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50.8%)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상시·지속 업무 정규직 고용의무화(30.8%), 정리해고 요건 강화(29.2%) 해고자·실업자 노조가입 허용(28.3%) 순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경영환경과 고용은 악화되고 있는데 국회와 정부는 기업부담을 늘리고 고용경직성을 더욱 강화하는 법안만 계속 발의하고 있다"며 "고용의 주체인 기업들의 활력을 제고해 실업대란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