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 뒤면 추석연휴, '감염경로 불명' 비율 낮추는 게 급선무

입력
2020.09.14 18:39
8면
국내발생 여전히 100명 육박하는 상황
정 총리 "2주간 방역효과 작으면 단계 올릴 수밖에"
역학조사 부담 줄이고 의료체계 붕괴 막아야

14일을 기점으로 수도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수위가 2단계로 완화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지역발생 일일 확진자 수가 감소세에 접어들었다는 판단 때문인데, 그럼에도 100명에 육박하는 확진자 수는 그간 ‘과할 정도로 하겠다’던 K-방역의 원칙을 유보할 수준은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더욱이 방역당국은 확산 가능성이 가장 큰 연휴를 보름여 앞두고 방역 수위를 낮춘 상황. 27일까지인 수도권 2단계 거리두기 적용 기간 동안 바이러스 확산세를 확실히 잡을 수 있느냐가 안정적 통제와 재확산을 가를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날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보다 109명 늘어 누적 2만2,285명을 기록했다. 이 중 98명이 지역사회에서 발생했고, 특히 83%에 달하는 81명이 서울(41명)ㆍ경기(30명)ㆍ인천(10명)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 수도권 신규 확진자 수는 거리두기 완화를 결정한 전날(60명)보다 증가했다. 다만 한 때 400명대까지 치솟았던 지역사회 발생 확진자 수가 두 자릿수로 떨어지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방역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수도권 거리두기 단계를 완화했지만, 확진자 수가 좀처럼 큰 폭으로 감소하지 않는다는 점은 살얼음판을 걷는 것처럼 방역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도 이날 “지금은 다가올 추석 연휴의 유행 관리, 동절기 인플루엔자 유행 예방과 신종 코로나 동시감염 차단이라는 커다란 숙제이자 고비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결국 추석 연휴 전 확산을 가져올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 상황인 셈이다.

무엇보다 언제든 대규모 집단감염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감염경로 불명 비율을 낮추는 게 급선무다. 감염경로 불명 환자 비율은 수도권 2단계 거리두기 적용 첫 주인 지난달 16~22일 12.4%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이달 6~12일에는 28.8%까지 뛰었다. 이 비율이 높아졌다는 것은 역학조사 부담이 가중돼 조사 속도가 느려져 바이러스 전파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염경로 불분명 환자를 줄이지 못하면 그만큼 언제든 대규모 전파로 연결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얘기다.

여전히 종교시설과 의료기관ㆍ요양시설, 방문판매 등을 중심으로 꾸준히 터져나오는 집단감염도 방역에 악재가 되고 있다. 집단감염은 n차 감염을 거쳐 또 다른 집단감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다반사다. 언제든 대규모 발병을 일으킬 개연성을 키운다는 점에서 집단발생 신규 건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날 현재 157명인 위중ㆍ중증환자 수는 방역ㆍ의료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 위험요소다. 현재 광주와 대전, 전북, 경북에는 즉시 사용 할 수 있는 중증환자 치료병상이 0개고, 강원과 충남, 전남은 각 1개, 울산과 경남은 2개 밖에 남지 않았다. 서울(11개)과 인천(3개), 경기(3개)에도 즉시 사용 가능한 중증환자 치료병상은 17개뿐이다. 자칫 확진자가 급증할 경우 앞서 코로나19 1차 대유행 당시 병상 부족으로 확진자가 제때 입원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자가 폭증했던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등과 같은 의료체계 붕괴로 연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2단계 거리두기가 시행되는 27일, 추석 연휴 전 이런 위험요소를 잡지 못할 경우 3차, 4차 대유행의 불씨는 언제든 다시 타오를 수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앞으로 2주간 방역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으면 추석 때는 정말 국민 이동이 없도록 방역 단계도 다시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김진주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