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의 고모부 장성택은 국방위원회 부위원장까지 올라선 북한 2인자였다. 하지만 김정은 권력 승계 2주년을 며칠 앞둔 2013년 12월 8일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공개비판 당한 뒤 끌려 나갔다. 장성택의 실각 장면은 조선중앙텔레비전을 통해 생생히 방영됐다. 사실 장성택은 그보다 몇 달 전 이미 체포돼 감금 상태에 있었으나, 극적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도로 끌려 나와 정치국 확대회의장에 앉아 있던 상황이었다.
□장성택에겐 반역죄가 적용됐지만 실은 김정은의 이복형 김정남을 후계자로 민 괘씸죄였다. 나흘 뒤 장성택은 특별군사재판 후 사형이 집행돼 사망했다. 당시 사형 방식을 두고 온갖 추측이 나돌았다. 대표적인 게 장성택이 고사포(비행기 공격용 포)에 처형됐다는 루머다. 장성택이 굶겨 놓은 사냥개 120마리한테 물려 죽었다는 소문은 홍콩 타블로이드지 문회보(文匯報)에 실리기도 했다. 북한 관련 내용은 무조건 쓰고 보자는 관행의 결정판이었다.
□그런데 북미 정상 간 대화에서 처형의 실체가 드러났다는 증언이 나왔다. 워터게이트 특종기자 밥 우드워드의 신간 ‘격노’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드워드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이 모든 걸 말해줬다”면서 다음과 같은 얘기를 전했다. “김정은이 고모부를 죽였고 그 시신을 (북한의) 상원의원들이 걸어나가는 계단에 뒀다. 그리고 잘린 머리는 가슴 위에 놓아뒀다.” 김정은이 트럼프에게 장성택 참수설을 거론했다는 것이다.
□기존의 고사포 처형설도 황당하지만 참수설도 야만적이기는 마찬가지다. 참수는 극악무도한 범죄에 대한 인류의 오래된 처형 방법 중 하나지만 오늘날에는 잔혹성을 이유로 사우디아라비아 등 극히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허용하지 않는다. 고모부를 참수하고 이복형을 암살하는 독재자와 반소매 내의만 걸친 채 수해 복구 현장을 누비는 북한 지도자는 다른 사람이 아니다. 둘 중 한쪽만 봐서는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관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염원은 허상이 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