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돈 벌어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 비중 OECD 5위”

입력
2020.09.13 11:58
19면
OECD 평균보다 5.5%p, 일본보다 16%p 높아
서비스업종은 10곳 중 4곳이 한계기업
"국가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한국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내지 못하는 상태가 3년간 지속되는 ‘한계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4개국 중 5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OECD 37개 회원국 중 지난해 기준 자산총액이 500억원 이상인 기업이 100개 이상인 24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기준 17.9%로, OECD 평균(12.4%)보다 5.5%p 높았다. 한계기업 비중이 1.9%에 불과해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작은 일본과 비교하면 무려 16%p나 높은 수치다. 한계기업 비중이 크다는 것은 경영 실적이 나쁜 기업이 많다는 뜻이므로, 산업계의 체력이 좋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계기업은 구조조정이나 파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국보다 한계기업 비중이 높은 국가는 캐나다, 그리스, 미국, 스페인 4개국이었다.

특히 한국의 서비스업은 한계기업 비중이 무려 38.1%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기업 10곳 중 4곳이 한계기업이라는 얘기다. 이는 OECD 서비스업 평균 한계기업 비중이 10.1%로, 업종 전체 한계기업 비중보다 작은 것과 대조를 이룬다. 조사 대상 국가 중에서는 터키(40%)만 유일하게 한국보다 서비스업 한계기업 비중이 컸다. 전경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큰 충격을 받은 레저, 관광, 호텔업 등 서비스 업종의 한계기업 비중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한편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7년 15.4%에서 지난해 17.9%로 2.5%p 증가했다. 조사대상 국가 중 증가 폭이 6번째로 높다. 더 심각한 것은 지난해 기준 한국보다 한계기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한계기업 증가 폭은 한국보다 낮다는 사실이다. 이런 추이가 계속된다면 OECD 국가 중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 순위는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 때문에 향후 한계기업이 폭증할 우려가 큰 상황이고, 한계기업의 증가는 국가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규제 완화와 친기업적 환경 조성을 통해 한계에 다다른 기업들이 스스로 살아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준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