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으로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이들을 치료할 병상 확보가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일부 지역에서는 코로나 확진자를 치료할 병상 가동률이 90%를 넘어서는 등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자칫하면 입원을 기다리다 환자가 숨지는 ‘제2의 대구ㆍ경북 코로나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병상 확보를 위한 보건당국과 병원, 지자체 등의 유기적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무엇보다 중환자의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는 점이 걱정된다.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의 광복절 집회 관련자 중 고령자가 많은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달 12일 13%였던 60세 이상 환자 비율은 14일 22%, 24일에는 35%까지 높아졌다. 60세 이상 확진자는 경증이라도 언제든지 중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현재 중환자는 32명이지만 1주일 이내에 100명을 넘길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예상도 나오고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서울(63병상)을 제외한 대부분의 다른 지자체에는 중증환자 병상에 여유가 없다. 수도권인 인천과 경기는 각각 3병상밖에 남아 있지 않고 충남과 전북은 중환자를 치료할 병상이 한 개도 남아 있지 않다.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치료할 수 있는 의사ㆍ간호사를 포함해 계산할 경우 중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은 더 적다고 집계하고 있을 정도로 사정은 여유롭지 않다. 확진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증 환자의 경우 생활치료시설 입소로 치료가 가능한만큼 코로나 대책은 적시에 중환자 치료를 해서 치명률을 낮추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의 지적대로 지금부터라도 상급종합병원의 중환자실을 비우도록 하는 등 당국은 가능한 모든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와함께 하루 200~300명대의 확진자가 나오는 만큼 경증환자들이 입실해 치료할 수 있는 생활치료센터 확충에도 속도를 내기 바란다. 병상과 의료진 등 의료 자원의 확보와 적절한 분배야말로 방역 대책의 성패를 좌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