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가 실시되는 가운데 대구ㆍ경북지역 일부 지자체들은 방역 무풍지대라는 지적이다.
24일 오전 8시40분 대구 북구청 본관으로 공무원들이 줄지어 들어오고 있지만 발열 체크는 없었다. 엘리베이터 앞에는 대여섯 명의 공무원들이 촘촘히 모여있다. 20일 오전 8시35분 대구 수성구청 청사에는 열화상 스캔 장치마저 꺼져있다. 담당자도 자리에 없었다. 직원들은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고 들어갔다. 마스크를 턱에 걸친 이들도 있었다.
반면 민원인이 출입하기 시작한 9시가 지나자 전혀 다른 상황이 전개됐다. 담당자 2명이 외부인 발열 체크와 인적사항을 지나치리만큼 꼼꼼히 적고 있다. 지자체가 공무원 업무시간인 9시부터 6시까지만 발열체크를 하고 있다. 9시 전 방문하는 외부인이나 지자체 공무원의 발열 체크는 손을 놓고 있다.
대구시는 3월에 치른 홍역으로 방역의 고삐를 바짝 죄겠다는 계획까지 세우고 있지만, 지자체의 허술한 방역체계는 재확산 우려를 낳고 있다.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 등은 여전히 철통 같은 방역시스템을 유지하는 반면 일부 지자체는 방심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대구의 한 공무원은 "현재 지자체의 발열 체크 담당자들은 '공공일자리 사업'을 통해 모집한 이들로 근무시간이 정해져 있다"며 "직원들이 1시간씩만 일찍 출근해 발열 담당업무를 하면 방역 허점을 막을 수 있는데 선뜻 하자는 공무원이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방문자 인적사항 기록도 형식적이다. 한 정보과 형사는 "확진자 이동 동선을 파악할 때 애를 먹는 경우 중 하나가 인적사항이 허위일 때이다"고 지적했다.
울진군 등 경북도내 시군 대부분 허술하기는 마찬가지다.
24일 오전 구미역 맞이방 출입구 두 곳에는 한쪽만 열화상카메라가 설치돼있다. 시민들이 카메라가 없는 곳으로 지나가도 아무런 제재가 없었다. 구미시외버스터미널도 마찬가지였다. 승차할 때는 열화상감지 카메라를 통과해야 하지만 하차장은 터미널 밖에 있어 열체크 없이 외부로 나가고 있다.
반면 모범적인 방역을 하는 곳도 드물게 있다. 대구 서구의 경우 오전 6시20분부터 숙직 직원들이 출입구에서 공무원을 비롯한 외부인들의 발열 체크를 하고, 퇴근 시간이 지난 오후8시30분까지 확인한다. 대구도시철도공사도 출근 1시간 전인 8시부터 직원들이 직원과 외부인들의 발열 체크를 6개월째 이어오고 있다.
한 의료인은 "관공서 방역이 뚫이면 또다시 3월의 악몽이 반복될 수 있다"며 "누구보다 공직사회가 앞장서서 모범을 보여야 할 때인데, 이런 행태로 방역체계를 한순간에 무너지면 그 책임을 누가 질 것인가"라고 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