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달 새 30%p 떨어진 대통령 지지율... 반전 카드도 마땅찮다

입력
2020.08.14 17:00
1면
갤럽 조사 39%...지난해 10월 조국 사태 때와 같아
인적쇄신 카드 등 있지만 타이밍 등 쉽지 않아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39%로 떨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의 성공적 대응과 더불어민주당의 4ㆍ15 총선 압승 등으로 올해 5월 70%를 웃도는 지지를 받았던 것을 감안하면 불과 3개월 사이 30%포인트나 급전직하했다. 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부동산 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부정적 여론의 기폭제 노릇을 했던 청와대 비서진 일부 교체 카드까지 꺼냈지만 반전이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최저치 충격... 부동산 논란이 화근

한국갤럽이 11~13일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39%로 집계됐다. 전주보다 5%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취임 후 갤럽에서 실시한 여론조사 중 최저치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면 과정에서 ‘국론 분열’ 논란이 불거졌던 지난해 10월 셋째 주와 같다.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53%로 조사됐다. 전주 대비 7%포인트 올랐다. 이 수치도 조국 전 장관 사태 때와 같다.

지지율 급락 핵심은 부동산 정책을 둘러싼 부정적 여론 확산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한 이유의 1순위로 ‘부동산 정책’(35%)이 꼽혔다. 최근 3개월 사이 6ㆍ17대책, 7ㆍ10대책, 8ㆍ4대책에 임대차 및 부동산 3법까지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가시적 성과는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상황에서 오히려 청와대 고위관계자 다주택 논란 등이 부각되면서 민심만 악화하고 있다.

국정운영의 한 축인 더불어민주당의 ‘입법독주’ 논란도 대통령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정의기억연대 기부금 유용 의혹 및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등 의혹을 둘러싼 청와대나 당의 대응 태도 역시 지지율 하락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겉으론 "뚜벅뚜벅"이지만... 위기감 큰 靑

지지율 하락에 청와대는 일단 일희일비하지 않고 ‘할 일’을 하겠다는 반응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뚜벅뚜벅’이란 표현을 사용하며 “심기일전해서 수해복구, 코로나19 방역, 주거정의 실현과 같은 경제 문제 등 당면한 국정현안을 챙기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론 위기감이 상당하다. 코로나19 대응과 같은 '천재일우' 격의 반전카드를 찾기도 어렵거니와, 남북 관계 개선 등 문재인 정부의 주특기를 살리기도 쉽지 않은 형국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지지율 하락이 이어져 그나마 이어온 국정운영 동력까지 같이 추락할 가능성에 우려만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한 관계자는 “여론 추이를 심각하게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여론 동향 보고 비중도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단기적으로는 잇따라 내놓은 부동산 정책이 시장에서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지만 이를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는 게 현실이다.

부동산 정책라인 교체 카드 꺼내나

국면전환 차원에서 개각 등 대대적인 인적쇄신을 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도 청와대가 처한 위기감과 연결돼 있다. 때문에 당초 연말 또는 내년 초로 예상됐던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나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교체 등 부동산 정책과 관련한 정책라인 교체카드를 문 대통령이 앞당겨 사용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재임 기간이 길거나 교체 요구 목소리가 높은 인사들까지 개각폭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국방부, 여성가족부 등이 주로 거론된다. 다만 문 대통령이 인사를 통한 국면 전환을 극히 꺼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좀 더 여론의 흐름을 지켜볼 가능성도 있다.

결국 여론이 얼마나 더 돌아서는지 그리고 이에 대해 청와대가 얼마나 민첩하게 대처해 인적쇄신 등의 타이밍을 잡느냐가 향후 지지율 변화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윤태곤 더모아정치분석실장은 이날 “사람들은 ‘어렵다’고 하는데 문 대통령은 ‘안정되고 있다’고 얘기한다”며 “괴리가 훨씬 치명적이고 중요하다”고 말했다.

※상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c.go.kr) 참조.

신은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