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인력 부족 심각 “5년 후 전 분야 중국에 밀릴 것”

입력
2020.08.11 11:49
인공지능, 드론 등 9개 분야 인력부족률 29.4% 달해
미국·독일·일본·중국에 비해 크게 뒤쳐져

미래 성장동력인 4차 산업혁명 9개 분야의 인력 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인 현상은 5년 후에도 계속돼 전 분야의 인력경쟁력 측면에서 중국보다도 뒤쳐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1일 한국의 4차 산업혁명 분야별 9개 협회의 정책 담당자를 대상으로 '주요국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현재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인력부족률은 29.4%이며, 5년 뒤에도 28.3%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사물인터넷, 3D프린팅, 드론, 블록체인,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인공지능(AI), 컴퓨팅기술 등 9개 분야다.

한경연에 따르면 한국을 비롯해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5개국의 4차 산업혁명 인력 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한국을 100으로 보면 미국이 123.3으로 가장 앞서 있었고, 그 뒤로 독일(114.4), 일본(107.8), 중국(106.7) 순으로 뒤따랐다. 한국이 가장 뒤쳐져 있는 것이다. 5년 후에는 미국(121.1), 중국(114.4), 독일(106.7), 일본(104.4) 순으로 중국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기술 분야별로는 현재 한국이 비교 국가 중 중국에게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등 3개 분야에서 앞서고 있지만, 5년 후에는 9개 전 분야에서 비교 국가들 중 최하위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인력부족률이 가장 심각한 분야는 드론으로, 필요 인력의 절반이 넘는 55%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3D프린팅과 로봇 분야도 각각 35%의 인력이 부족해 뒤를 이었다. 인력경쟁력이 가장 우수한 분야는 컴퓨팅 기술로 현재 인력부족률은 15%였다.

관계자들은 △실무에 적합한 기술인력 부족(40.7%) △석박사 등 전문 인력 부족(33.3%) △예산지원·규제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11.1%) 등을 인력 확보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신성장동력 부재에 따른 국내 산업 생태계의 구조적 침하 현상을 감안할 대 4차 산업혁명의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4차 산업혁명 경쟁력의 핵심요소인 인력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교육 인프라 확충 등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경준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