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정무수석에 최재성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민정수석에 김종호 감사원 사무총장을 각각 내정했다. 시민사회수석에는 김제남 청와대 기후환경비서관을 내정했다. 지난 7일 노영민 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 5명이 현 정국에 대한 종합적인 책임을 지고 동반 사의를 밝힌 데 따른 후속 인사다.
인사의 내용을 보면 대체로 문재인 정부 국정 철학에 이해가 뛰어난 친문 인사들을 내세워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4선 의원 출신인 최 정무수석은 친문 핵심 인사로 정무 감각과 돌파력이 남다르다. 현 정부 초대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지낸 김 민정수석은 친정인 감사원으로 갔다가 이번에 한 체급 올려 다시 복귀했다. 정의당 의원 출신인 김 시민사회수석도 내부 승진 케이스다. 이날 청와대 개편을 시작으로 차기 민주당 지도부 선출, 부분 개각이 완성되면 본격적인 문재인 정부 3기가 시작된다고 여권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대통령 임기 60개월을 3등분해 인적 교체가 이뤄져야 자연스러운데 1년 9개월 남짓 임기가 남은 지금이 적기라는 얘기다.
노 실장이 일단 유임으로 가닥을 잡은 것도 국정 운영 연속성에 좀 더 방점을 두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권에선 노 실장이 후임 수석 인선을 위해 임시로 잔류한 게 아니라 연말이나 내년 4월 재ㆍ보선까지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전망이 무성하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달랑 청와대 수석 3명을 바꾸는 것으로 민심이 수습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청와대의 현실 인식이 걱정된다.
지금 상황은 다주택 매각을 놓고 언행 불일치를 보인 수석 몇 명 바꾼다고 해결될 수준이 아니다. 176석 거대 여당의 오만과 독주에 대한 우려가 임계점을 넘어섰다. 총선 압승 이후 넉 달도 못 돼 여당과 대통령 지지율이 급락한 것은 국정 운영 기조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쇄신이 필요하다는 경고음이다. 부동산 정책을 책임진 청와대 정책실은 물론 내각까지 포괄하는 보다 과감한 인적 쇄신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