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경제단체와 대기업에 재택근무 비율 70% 유지를 요청한 가운데 재택근무시 '숨겨진 잔업'으로 인해 근무시간이 평소보다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 정책과 산업 현장 간 괴리를 메울 근무방식 등의 정교한 설계가 필요해 보인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심각해짐에 따라 지난 4월 초 긴급사태 발령 당시 재계가 공언했던 재택근무 70% 실시 방침의 유지를 촉구하고 있다.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경제재생장관은 지난달 26일 기자회견에서 재계를 향해 "반드시 재택근무 70% 실시 비율을 되돌리지 말고 유지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긴급사태 해체 이후 재택근무 비중을 축소하거나 중단한 기업들을 의식한 발언이다.
실제 도쿄상공리서치가 6월 29일부터 7월 8일까지 1만4,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전히 재택근무 중이라는 응답은 31%에 불과했다. "감염 확산으로 잠시 실시했으나 이미 그만 두었다"는 기업이 26%였고, "한번도 실시한 적이 없다"는 기업도 42%에 달했다. 재택근무 중단 이유로는 △집에서 중요 정보를 다룰 수 있는 보안시스템 부재 △노무관리ㆍ평가의 어려움 △영업 등 업무상 도입 곤란 등이 꼽혔다.
특히 주목되는 건 재택근무로 인해 평상시보다 근무시간이 늘었다는 부분이다.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가 지난 4월 이후 재택근무를 경험한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평소보다 장시간 근무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가 51.5%였다. 시간외 근무 및 휴일근무를 한 적이 있는 응답자(381명) 중에선 65.1%가 "잔업수당을 신청하지 않은 적이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선 사내 분위기나 사측의 불철저한 근무시간 관리 등으로 결국은 회사가 잔업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가 56.4%나 됐다.
이에 따라 재택근무 정착을 위해선 업무지시 방식과 평가 기준 등의 정교한 설계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근무시간 외에 가급적 업무 연락을 자제하거나 회사 내부 시스템 접근을 제한하는 등 새로운 근무 방식을 고민해야 하고, 눈에 보이는 성과로만 평가할 경우 부하 직원들의 장시간 근무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 항목과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회사의 지시에 따란 시간외 근무 및 휴일근무에 대한 정확한 보상도 반드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