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제재의 영향으로 2017년과 2018년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북한 경제가 지난해엔 0.4%의 플러스 성장을 한 것으로 추산됐다. 제재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 위주로 수출을 전환하고 대대적인 건설 활동을 일으킨 점 등이 플러스 성장 배경으로 분석된다. 다만 회복세가 미미해 남북 간 소득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한국은행이 31일 공개한 ‘2019년 북한 경제 성장률 추정 결과’를 보면, 2019년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2018년 대비 0.4% 증가했다. 북한 성장률은 2016년 3.9%를 기록한 이후 2017년 -3.5%, 2018년 -4.1%를 나타낸 바 있다. 핵미사일 실험에 대응해 2017년 말까지 집중된 유엔 차원의 국제 경제제재 영향이었다.
산업 부문별로 보면 농림어업과 건설업의 성장률이 플러스로 전환했고, 광공업의 낙폭도 줄었다. 북한 GDP의 5분의 1 이상(21.2%)을 책임지는 농림어업의 성장률은 2018년 폭염으로 작황이 좋지 않아 -1.8%를 기록했지만 2019년에는 기후 여건이 개선돼 다시 1.1%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경우 관광지구 개발과 발전소 공사 등을 크게 일으키면서 2018년 -4.4%에서 2019년 2.9%로 올랐다. 농림어업과 더불어 주력산업으로 볼 수 있는 광공업은 침체를 지속했지만, 2018년 -12.3%에서 지난해 -0.9%까지 낙폭을 줄였다.
교역도 일부 개선됐다. 2019년 북한의 대외 교역 규모는 32억4,000만달러로 2018년보다 14.1% 증가했다. 수출액과 수입액이 각각 2억8,000만달러와 29억7,000만달러로 각각 14.4%, 14.1% 늘었다. 하지만 2018년 수출과 수입이 각각 86%와 31% 폭락한 것을 고려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지난해 북한에서 수출액이 급증한 품목은 시계 및 부분품(57.9%) 신발ㆍ모자ㆍ가발류 (43%) 광학ㆍ의료기기 및 부품 (47.5%) 등이었다. 반면 광물성 생산품은 2018년에 92.4%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29.9% 더 감소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2019년 북한과의 교역은 중국이 95% 이상을 차지하는데, 특히 시계부품이나 가발 등은 100% 중국이 수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은 관계자는 "2017년 12월 이후 대북 제재가 추가로 나오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북한 주력 수출품이 제재 대상인 광물이나 의류에서 제재 대상이 아닌 시계부품, 신발, 모자, 가발류 등으로 옮겨 갔다"며 "북한 경제가 3년만에 성장으로 돌아서기는 했지만 그간의 추락을 고려하면 경제 회복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2019년 북한의 국민 총소득은 35조6,000억원으로 우리나라의 54분의 1(1.8%) 수준이었다. 1인당 국민소득은 140만8,000원으로 우리나라의 27분의 1(3.8%)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26분의 1)에 비해 남북 간 소득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