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신성장동력은 해상풍력...5년 뒤 연매출 1조원"

입력
2020.07.19 16:58
친환경 산업 확대로 경영 위기 돌파구 목표 
"정부 정책 기댄 성장엔 리스크" 우려도

두산중공업이 문재인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에 발맞춰 해상풍력 사업의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두산중공업은 해상풍력 분야의 연구개발(R&D)과 생산시설 투자를 더욱 확대하고, 2025년까지 해상풍력 사업의 연매출을 1조원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19일 밝혔다.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은 "정부가 최근 발표한 '해상풍력 발전방안'에 힘입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국내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이달 17일 그린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총 12기가와트(GW) 규모 해상풍력 설비를 준공하는 계획을 포함한 '해상풍력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같은 날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북도는 '전북 서남권 주민상생형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총 14조원이 투입돼 2029년 완공 예정인 이 사업을 통해 전북 고창군~부안군 해상에 2.4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이는 224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원자력발전소 2기의 발전량과 맞먹는다.

2005년부터 약 1,800억원을 투자해 풍력발전 기술을 개발해 온 두산중공업은 정부의 이번 풍력발전 확대 정책을 기회 삼아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두산중공업은 지금까지 제주도와 서해 등 전국에 총 79기, 약 240MW 규모의 풍력발전기를 공급했으며, 이 중 96MW의 해상풍력발전기가 두산중공업 자체 제품이다.

두산중공업은 국내 시장 확대 추세에 맞춰 R&D와 생산시설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2022년 개발 완료를 앞두고 있는 8MW급 대용량 해상풍력발전기는 대표적인 R&D 성과물이다. 이 발전기는 우리나라처럼 비교적 풍속이 낮은(평균 6.5m/s) 환경에서도 최소 30% 이상의 이용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두산중공업 측은 설명했다.

두산중공업의 기대대로 해상풍력이 경영 위기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 업계에선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 친환경 발전과 수소경제가 에너지산업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이 두 분야가 결합돼 있는 해상풍력 발전이 크게 늘어남으로써 두산중공업의 경영 환경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예측이 현재로선 우세하다. 해상풍력발전은 전력 생산 이외에도 해수담수화, 수전해 과정을 거쳐 친환경 수소에너지를 얻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두산중공업의 매출이 3조7,000억원 수준인데, 5년 후 회사 매출의 약 27%를 해상풍력에서 올리겠다는 건 이를 확실한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의지"라며 "본격 수주를 한 2010년 이후 10년간 누적 수주액은 6,600억원에 불과하지만, 정부의 정책 지원을 업고 국내 실적을 쌓은 후 유럽, 미국, 대만, 일본 등 해상풍력 투자를 늘리고 있는 해외 시장으로 진출한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 덴마크 기업 베스타스는 과거 '오일쇼크' 때 경영난에 빠진 후 자동차 부품회사에서 풍력발전 회사로 변신해 연매출 10조원에 달하는 업체로 급성장했다.

하지만 정부 정책에 기댄 성장에는 리스크가 뒤따를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 때 국내 조선 3사와 효성 등이 수조원을 들여 풍력발전에 뛰어들었지만, 정부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면서 결국 대부분 포기했다"며 "만약 이번에도 향후 정부 계획에 차질이 생긴다면 두산중공업 혼자 힘으론 친환경 기업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경준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