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패혈증 사망률이 39% 수준으로 선진국보다 2배가 넘어 ‘묶음치료’ 수행률을 높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채만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팀이 내놓은 연구에 따르면 2009∼2013년 국내 패혈증 평균 사망률은 38.9%로 2014년 호주 중증 패혈증 사망률(18.4%)의 2.1배였다.
고령인보다 상대적으로 사망률이 낮은 경제활동인구(18∼60세)에서도 연평균 9,379명의 환자가 발생해 28.7%(2,694명)가 사망했다. 패혈증은 혈액 내 세균 등 감염으로 혈관이 손상돼 혈액·염증세포가 온몸으로 누출돼 주요 장기를 손상시키는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3,000만명의 환자가 생기지만 뚜렷한 치료제가 없다.
연구팀은 국내 패혈증 사망률이 높은 원인으로 일관된 관리·감시체계가 없고 사망률을 낮추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묶음치료 수행률이 낮다는 점을 꼽았다.
미국,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에는 패혈증 등 다양한 중증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조사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이 있다. 일본에서도 ‘패혈증 등록사업위원회’를 구성해 묶음치료 수행률을 높이고 있다.
묶음치료는 유산농도 측정, 혈액배양검사 시행, 항생제·수액 투여, 승압제 사용 등을 모두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6시간 안에 묶음치료를 하는 게 사망률을 낮추는 데 중요한 요소다.
2009∼2014년 패혈증 발생률이 증가했지만 사망률은 감소한 미국에서는 패혈증 3시간 묶음치료 수행률이 18∼43.5%로 조사됐다. 반면 우리나라의 패혈증 묶음치료 수행률은 5.6%에 불과했다.
병원별·지역별 편차도 컸다. 1시간 이내 묶음치료 수행률은 △상급종합병원은 9.2%로 종합병원(1.5%)의 6.3배 △1,500병상 이상의 대형 의료기관은 10.6%로 1,000병상 미만 의료기관(2.6%)의 4.1배 △수도권은 8.86%로 비수도권(3.53%)의 2.5배였다. 3시간, 6시간 이내 묶음치료 수행률도 비슷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