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3개월여 만에 사흘 연속 60명을 넘어서는 등 바이러스 확산세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유치원생, 초등학생들의 감염도 잇따르는 등 연령층을 불문하고 확산되는 양상이다. 이에 프로 스포츠 관중 허용 방침 등 일상적 사회경제활동을 영위하며 유행을 통제한다는 정부의 1단계 사회적 거리두기가 한계에 이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방역수위를 현재대로 유지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5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종 코로나 확진자 신규 확진자가 전날 같은 시간 대비 61명 증가했다. 3일(63명), 4일(64명)에 이어 3일 연속 60명을 넘어선 선 4월 이후 처음이다.
소규모 집단감염은 빠르게 확진자를 늘리는 실정이다. 광주의 경우 이날 정오 기준 광륵사발 확진자가 13명 추가돼 누적 확진자가 총 80명에 달했다. 추가 확진자는 금양빌딩 관련 4명, 광주 일곡중앙교회 교인 9명이다. 일곡중앙교회는 1,500명의 신도가 출석하는 중대형교회로, 광주뿐 아니라 전남과 전북지역 교인들까지 예배에 참석해 호남권 전반적인 추가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대전에서도 더조은의원발 확진자가 3명 늘어 지금까지 총 9명이 감염됐다.
수도권에서도 확진자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서울 관악구 왕성교회 관련해 자가격리중인 교인 1명이 이날 추가 확진돼 누적 확진자가 35명에 이르렀고, 경기 의정부시 아파트발 확진자도 28명으로 집계됐다. 경기 수원시 교인모임에서도 교인의 지인 2명이 추가 확진돼 현재까지 13명이 확진판정을 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저연령 확산세도 두드러진다. 지난달 27일 대전의 2세 유아가 확진 판정을 받은 아버지를 통해 감염된 데 이어 대전에서도 중학생과 초등학생 형제가 부모에게 감염돼 확진판정을 받았다. 서울, 대전, 경기와 광주지역에서도 초등학생 확진자가 나왔다. 이에 따라 확진자들이 다니는 어린이집과 학교에는 긴급하게 등교ㆍ등원 중단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바이러스가 어린이집이나 학교, 학원 등에서 전파될 경우 겉잡을 수 없는 전방위적 확산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지역사회 감염을 중심으로 확진자 수가 60명대에 들어서고,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의 감염이 속출하면서 현재 방역수위에 한계가 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신중한 입장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안본)는 이날 “1단계 내의 위기수준은 엄중한 상황”이라면서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 조정할 수준은 아니다”고 밝혔다. 현재 확산세를 보더라도 방역수칙을 강화할 수준은 아니라는 판단인 셈이다.
중안본이 지난달 28일 밝힌 단계별 방역수칙 전환 기준에 따르면 1단계 사회적 거리두기의 기준은 △일일 지역사회 확진자 수 50명 미만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감염' 5% 미만 △방역망 내 관리비율 80% 이상 △관리 중인 집단발생 감소 등 4가지 조건의 2주간 평균 수치다. 이에 따르면 최근 2주간(6월 21~7월 4일) 지역사회 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31.1명으로 이전 2주(6월7일~20일) 대비 5.7명 감소했다. 집단감염 건수는 12건으로 같은 기간 2건 감소했다.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의 비율이 9.9%에서 10.7%로 상승하고, 방역망 내 환자 관리 비율은 80% 미만이라는 지표도 있지만, 방역수위를 높이기엔 시기상조라는 게 방역당국의 판단이다.
일일생활권이 형성돼 있는 만큼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를 거두기 위해 전국적으로 단계를 격상시켜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박능후 중안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지역간 격차를 도외시하는 일률적 방역조치는 되레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일부 지역 주민들의 긴장도를 낮추고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게 하는 등의 우려를 발생시킬 수 있다"며 "정부는 시ㆍ도 단위별 위험도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도록 전략을 짜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일 방역단계를 2단계로 격상한 광주와 오는 6일부터 19일까지 2단계로 격상하기로 한 전남 등과 같이 상황별ㆍ지역별 전략을 택하겠다는 것이다.
방역당국은 이날 '해외건설 근로자 방역지원 강화방안'을 마련했다. 해외건설 현장의 특성상 환자가 발생하더라도 적시에 치료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외국인과 공동생활에 따른 감염 확산 가능성도 높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지원 방안은 △올해 3분기 내 재외 비대면 진료 서비스 개시 △중증환자 발생시 기업이 요청하면 전세기ㆍ특별기 등 활용해 국내로 복귀할 수 있게 지원 등의 내용이 골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