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이하의 신차 등록 점유율이 집계 이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경기 불황으로 주머니 사정이 날로 악화하는 청년 세대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국토교통부 통계를 활용·집계해 25일 내놓은 연령별 신차 등록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1월 20대(8만535대)와 10대(1,823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는 8만2,358대로 전체 신차 등록 대수(137만6,621대)의 6%에 그쳤다.
이는 국토부가 연령별 신차 등록을 분류해 공개한 2009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20대 이하 신차 등록 점유율은 2009년 11.1%에서 이듬해 12.2%로 올랐다가 2015년 7.9%, 2020년 7.2%, 지난해 6.3%로 감소세를 이어왔다.
반면 중장년층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5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2020년 19.4%에서 2021년 18.4%, 2022년 17.3%로 줄었다가 올해 다시 19.3%로 회복됐다. 6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2020년 9.2%에서 2021년 9.7%, 지난해 9.9%로 늘다가 올해 11.5%로 급증했다. 70대 이상 등록 점유율도 2020년 2.1%에서 꾸준히 증가해 올해 2.5%가 됐다.
이는 경제 기반이 노년 세대에 비해 빈약한 청년 세대가 경기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풀이된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시스템산업실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에서 비롯된 경기 불황을 주요한 이유로 꼽았다. 그는 "청년층이 큰 타격을 받은 반면 고령층은 상대적으로 모아 둔 재산이 많고 고령화로 경제 활동도 날로 활발해지는 상황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공유 경제가 대세가 되면서 젊은이들이 차를 소유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화되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자동차 업계의 대비가 시급한 실정인 셈이다. 김 실장은 "공유 경제가 큰 유행이 되면서 청년층이 운전을 꺼려하자 자동차 업계는 신차에 노인 친화 옵션, 안전 편의 사양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운전) 경험이 (차량) 구매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젊은이들이 운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업계의 고민이 필요하다"며 "(청년층 일부와 고령층을 겨냥한) 고급화도 일종의 대응 전략"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