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 4위다.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면서 환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할 질환이다. 뇌졸중은 재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 장애를 일으키고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월 29일 세계 뇌졸중의 날을 맞아 최혜연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함께 뇌졸중의 증상 및 예방과 치료법을 알아본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과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을 말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1년 뇌졸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62만 명에 이른다. 이 중 뇌출혈은 10만390명, 뇌경색은 50만8,415명이었다.
이전에는 뇌출혈이 많았지만, 서구화된 식습관과 고혈압·당뇨병·비만이 증가하면서 현재 뇌경색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다.
뇌졸중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히면서 뇌에 손상이 생기는 질환이기에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또한 치료받더라도 많은 환자에서 신체 마비·언어장애·삼킴장애·발음장애·시력장애·치매 등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긴다. 따라서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며 평소 위험 인자가 있다면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뇌졸중의 대표적인 고위험군은 고혈압·심혈관 질환·당뇨병이다. 뇌졸중 환자의 60~70%가 고혈압을 앓고 있고, 고혈압 환자의 뇌졸중 발병률은 일반인의 4~5배가량 된다. 또한 뇌졸중의 20% 정도는 심혈관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부정맥(不整脈) 등 심장 기능 이상으로 발생한 혈전이 혈관을 타고 흘러가 뇌혈관을 막아 뇌경색을 일으키기도 한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는 정상인보다 2배가량 발병 위험이 높다.
뇌졸중은 예방이 중요하기에 혈관 건강 유지해야 한다. 음주·흡연을 삼가고, 과로를 피하며, 적절한 운동,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건강한 삶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당분과 소금, 동물성 지방 섭취를 줄이도록 노력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한다. 뇌졸중 위험 인자인 고혈압·당뇨병·심혈관 질환·비만 등을 가지고 있다면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미리 뇌 검진을 받아보는 것도 좋다. 혈압 등을 검사하는 기본 신체검사와 더불어 고위험군에서는 경동맥 초음파검사, 뇌 자기공명영상(MRI), 뇌 자기공명혈관조영술(MRAㆍ뇌혈관 속에 도관을 넣어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혈관을 촬영) 등 영상 검사도 해볼 수 있다.
뇌 MRI로는 뇌의 구조적 이상 여부를 확인하며, 뇌혈관 MRA는 뇌혈관 모양을 검사한다. 뇌혈관 MRA로 미세혈관까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주요 뇌혈관의 협착이나 동맥류(動脈瘤·aneurysm) 등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경(勁)동맥 초음파검사는 목의 큰 혈관인 경동맥 이상 여부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검사이다. 그러나 뇌의 뒷부분을 담당하는 척추동맥은 부분적으로만 관찰할 수 있으며, 뇌 내 혈관은 검사할 수 없다.
경두개 혈류 초음파검사는 두개 내 혈관(뇌내 혈관)의 혈류를 검사할 수 있지만 두개골 안쪽의 혈관 모양은 볼 수 없다.
최혜연 교수는 “검진 목적의 뇌, 뇌혈관 영상 검사가 정상이라 하더라도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은 있으므로, 검진 전후 전문의 진료가 필수적”이라고 했다.
뇌졸중은 골든타임이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예방이나 검진에도 불구하고 뇌졸중이 발생했다면 지체없이 병원을 찾아 빨리 치료해야 한다.
발음이 어눌해지거나, 한쪽 팔다리가 저리거나,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이상증세, 또는 극심한 두통, 어지러움이 발생했다면 곧바로 병원을 찾는다.
간혹 이러한 이상 증상이 잠시 생겼다 회복될 수도 있지만 재발할 우려가 크므로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를 받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