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분만 등을 위해 닥터헬기를 이용한 임신부의 절반 이상이 전남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닥터헬기 이용 임신부들은 멀게는 300㎞ 이상, 평균적으로는 100㎞ 가까이 이동해야 병원에 도착할 수 있었다. 정부가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확대를 통해 원거리 이동 없이 지역 내 출산이 가능하도록 분만 인프라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인천·전남·강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닥터헬기를 이용한 임신부는 총 9명으로 집계됐다. 모두 섬·벽지 거주자로 갑작스러운 산통이나 출혈 등으로 응급분만이나 응급처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특히 9명 중 5명은 전남 도서지역 거주자였다.
이들 9명의 평균 이동 거리는 95km였다. 가까운 곳에 산부인과가 없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백령도에서 닥터헬기에 탑승한 임신부의 경우 백령도가 속한 인천 옹진군에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어 306km를 이동해야 했다. 2020년 3월엔 전남 완도군 노화도에 거주하는 임신부가 목포로 이송 중 헬기 내에서 출산하는 일도 있었다.
연도별 사례를 보면 2019년 3월 강원 평창군에서 교통사고를 당한 임신부가 54km 떨어진 원주세브란스 기독병원으로 이송됐다. 2021년엔 각각 전남 신안군과 완도군에 거주하는 임신부가 목포시로 이송됐다. 지난해는 4명이 닥터헬기를 이용했는데 각각 전남 완도군에서 목포시로, 강원 영월군에서 원주시로, 인천 옹진군 백령도에서 인천 남동구로, 충남 서산시에서 인천으로 이송됐다.
이들 임신부 거주지는 대체로 복지부 지정 분만취약지였다. 특히 옹진군, 평창군, 신안군, 완도군은 취약도가 가장 큰 A등급 분만취약지였다. 평창엔 산부인과가 전혀 없고, 옹진·신안·완도엔 산부인과가 있지만 분만실이 없다.
이 때문에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확대해 취약지 인프라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복지부는 임신부가 분만이 가능한 의료기관에 60분 내 도달하는 비율이 30% 미만이거나 60분 내 도달이 어려운 가임기여성 인구비율이 30% 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산부인과 장비비,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김 의원은 "정부가 2011년부터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나, 농어촌과 섬지역 등 취약지 분만인프라는 여전히 열악한 수준"이라며 "저출생 극복과 의료격차 해결을 위해 취약지의 분만·신생아 진료 인력 및 인프라를 대폭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