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24일 군사정찰위성을 다시 발사할 북한이 '군 지휘관'을 띄우는 데 주력하고 있다. 경제난의 책임을 물어 내각 총리를 비롯한 행정 분야 간부들을 질책하던 것과 대조적이다. 군 사기를 끌어올리려는 행보인데, 과연 북한의 의도대로 민심이 수긍할지 의문이다.
노동신문은 23일 '일군(간부)들은 국가사업에 대한 주인다운 태도를 가지고 맡은 책무를 엄격히 수행하자'는 제목의 사설에서 "모든 일꾼들은 당과 국가사업에 대한 주인다운 태도를 가지고 비상한 책임감과 실무능력으로 맡겨진 책무를 엄격히 수행해 나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인민군대 지휘관들처럼 현장을 타고 앉아 문제를 앞장에서 풀어나가야 한다"며 "명령 관철 전에는 죽을 권리도 없다는 정신, 혁신적이고 대담한 사업 기풍, 신축성 있는 일본새, 이것이 일군들이 배워야 할 투쟁 본때"라고 강조했다.
전날에 이어 행정 분야 간부들의 보신주의를 저격하면서 인민군의 일 처리 방식을 배워야 한다고 요구한 것이다. 2면에는 김 위원장이 과거 한 군부대를 시찰할 당시 병사들의 생일상을 잘 챙기라고 지시한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북한의 이 같은 메시지는 정찰위성 발사를 앞두고 군 내부 사기를 다지면서 경제난에 돌아선 민심을 달래려는 의도로 보인다. 북한은 앞서 5월 정찰위성을 처음으로 쐈지만 실패하면서 체면을 구긴 상태다. 또다시 발사에 실패한다면 김정은 체제 리더십에 심각한 위기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9월 9일 정권수립일에 맞춰 열병식을 포함해 대대적인 경축 분위기로 끌고 가려던 구상도 틀어진다.
따라서 군부에 힘을 실어주며 어떻게든 이번 발사를 성공시키려는 절실함이 담겨 있다. 북한은 5월 발사 실패 이후 장창하 국방과학원장을 일시적으로 경질하고, 원인 파악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정보소식통은 "북한 엔지니어들은 쉽게 대체할 수 없는 인력이기 때문에 (위성 발사 실패 후) 간부진만 잠시 바꿔 원인 규명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렸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만 발사 성공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한 대북전문가는 "김 위원장의 숙원 사업인 만큼 5월 발사 당시 실패 원인을 빠르게 보완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여전히 기술적 완성도는 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며 "설령 성공하더라도 위성이 성능을 제대로 갖췄을지 미지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