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超광역부울경시대] '동북아 중심도시 창원'… 미래 50년 성장 주춧돌 놓았다

입력
2023.07.20 18:00
[창원특례시]
북면·동읍 일원 국가산단2.0 유치
디지털 전환 성장에 고도화 착수
원자력산업 생태 복원 잰걸음

‘동북아 중심도시 창원’을 시정비전으로 내건 민선 8기 창원특례시 홍남표 호(號)가 출범 1년을 맞았다.

출범 초 맞닥뜨린 여건은 만만치 않았다. 코로나19 팬데믹이 3년째 이어지고, 미중 패권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환경은 급격하게 변하고 있었다. 특히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주력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이로 인해 통합시 출범 초기 110만 명에 이르던 인구는 103만 명으로 줄어들고 감소추세도 계속됐다. 통합부채가 1조 원에 이르는 등 재정상태도 큰 부담을 예고했다.

이에 홍 시장은 우선적으로 창원의 경제를 되살리는 일에 집중했다.

변화와 혁신의 365일… 경제 재도약 이끌 미래 성장 기반 확보

지난 3월 의창구 북면, 동읍 일원 103만 평이 창원국가산단2.0 후보지로 선정됐다. 시는 이곳을 첨단 제조도시인 프랑스 그르노블, 일본 센다이를 벤치마킹해 최첨단 연구시설과 인재 양성까지 연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특화 산단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 50년간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이끌어 온 기존의 창원국가산단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고도화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지난 4월 독일 인더스트리4.0 정책 핵심기관인 LNI 4.0, 스마트팩토리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인 지멘스, 다쏘시스템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3D 산단 디지털플랫폼 구축사업에 착수하고, 창원국가산단 50주년 발전협의회를 발족해 장기 발전방안 마련에도 돌입했다.

원자력산업 생태계 복원도 가속화했다. 지난해 7월 산업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8월부터는 원전금융정책관이 시에 상주하며 기업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산자부로부터 원자력 분야를 추가한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지정받고, 정부와 협업으로 원전기업신속지원센터를 열어 기업 맞춤형 서비스에 들어갔다.

지난 1월 윤석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 시 지자체로는 유일하게 경제사절단에 참여해 아부다비와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수소기업의 중동시장 진출 교두보를 마련했다. 또한 1월 ‘미국 CES 2023’에 9개 기업, 4월 독일 ‘하노버 산업박람회(MESSE)’에 10개 기업 등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도 지원했다.

지난 4월 산자부가 공모한 의료·바이오 첨단기기 연구제조센터 구축사업에 선정됐으며, 모빌리티 분야엔 2023년 드론 실증도시 구축 공모사업과 도심항공교통(UAM) 2단계 실증사업을 유치하는 등 미래 신산업 육성 기반도 마련했다.

대형 수소특장차(10톤 수소 청소트럭) 실증 운행,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설비 준공, 수소 모빌리티 통합형 대원수소충전소 구축 등 수소산업의 표준이 될 핵심 기반도 마련했다.


100만 도시에 걸맞은 특별함 더해

경남과 창원의 많은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원정 진료를 받으러 가는 등 열악한 의료서비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창원 의과대학 유치’ 활동에 집중했다. 올해 1월 ‘의과대학 유치 기획단’을 구성하고, 범시민 추진위원회 출범 및 궐기대회 개최, 국회 토론회, 100만 시민 100만 서명운동을 추진했다.

코로나19로 정상 운영되지 못했던 진해군항제, 마산국화축제, 창원K-POP월드페스티벌 등 3대 대표축제는 수백만의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며 2,700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했다. 석동·대산·북면 등 3개 정수장은 ISO 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템) 국제인증을 취득해 수돗물을 식품 수준으로 관리해 나가고 있다.

빠른 교통흐름과 탄소중립에 대응하기 위해 대중교통 중심도시로의 전환에 나섰다. 지난 6월부터는 18년 만에 전면 개편된 시내버스 노선 운영을 시작했다. 또한 도시철도(트램) 도입의 첫 단계인 도시철도망 구축계획도 국토부 승인을 받았다. 마산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마산역 미래형 환승센터 시범사업’에도 선정됐다. 이에 따라 철도, 버스,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 등이 한곳에서 60초 이내 환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직속 청년정책담당관을 신설하고, C-블루윙 펀드 1,000억 원 달성 등 청년 창업지원을 강화했다. 청년 1,000명에게 10만 원의 교통카드, 면접수당으로 600명에게 최대 10만 원의 누비전을 지원하는 등 청년 구직활동을 뒷받침했다.

재정, 조직, 업무 등 시정 전반에 강력한 혁신 드라이브를 걸었다. 우선 재정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진단을 실시하고, 가용재원의 절대 부족과 채무급증 해소를 위한 재정혁신에 착수했다. 이를 통해 4,400억 원의 시비 예산을 절감과 343억 원의 채무를 조기에 상환했다.

향후 시정운영 방향·과제

후보지로 선정된 창원국가산단2.0의 산업단지 최종 승인에 노력해야 한다. 신규 국가산단은 차별화된 인프라 구축이 핵심이다. 시는 올해 기획용역비를 확보한 차세대첨단복합빔 조사시설 등 최첨단 공동연구시설 구축과 글로컬 대학 육성을 통한 고급인재 양성기관, 그리고 앵커기업과 연구개발 중심의 공공기관 유치에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이면 설립 50주년을 맞이하는 창원국가산단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산단으로 대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컨트롤타워가 될 스마트팩토리 지원센터 구축 등 관련 사업발굴과 국비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청년이 일하고 싶고 머물고 싶은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시의 인구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데, 큰 이유는 청년들의 이탈이다. 지역 인재 양성 방향을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대학과 함께 약학과, 수의학과, 법전원 등 전문학과 개설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시 재정에 큰 부담이 될 마산로봇랜드, 웅동지구, 팔룡터널 등 실패한 민자사업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창원 의과대학 유치를 위해서는 전 구성원이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정책 효과에 원활한 소통과 발로 뛰는 행정이 중요, 시민 체감 성과 낼 터”

[인터뷰] 홍남표 창원특례시장

-지난 1년의 소회는.
“올바른 시정을 향해서 무소의 뿔처럼 앞만 보고 달려왔던 1년이었다. 우선적으로 창원을 둘러싼 환경을 진단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나아가야 할 비전과 전략, 해야 할 프로젝트들을 설정했다. 그래서 큰 틀을 먼저 잡고, 기존에 하고 있던 사업들과 새로 해야 될 사업들을 ‘동북아 중심도시 창원’ 비전에 맞춰서 정리했다. 지금은 4차 산업혁명 시대다. 여러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특히 미중 패권 전쟁으로 인해 창원을 둘러싼 글로벌 공급망도 바뀌고 있다. 이런 것들이 창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주도면밀하게 살펴보면서 프로젝트를 하나하나 잘 챙겨 나가겠다.”


-주요 성과를 꼽는다면.

“우선 경제 활성화에 주력했다.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생태계가 많이 망가뜨려져 있었는데 산업은행을 통해서 원전금융정책관을 초빙하고, 중앙정부와 협업으로 원스톱 서비스 체계를 구축했다. 의창구 북면, 동읍 지역은 103만 평 규모의 창원국가산단 2.0 후보지로 선정됐다. 의료·바이오 산업이라든지 모빌리티 산업 등 미래 신산업 발굴에도 노력했다. 금년 초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에 함께해 아부다비 정부와 수소산업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미국의 CES와 독일 MESSE에 창원 기업의 진출도 도왔다. 이뿐만 아니라 문화복합타운 등 장기표류 사업들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새롭게 나아갈 방안도 마련했다. 아울러 고강도 세출구조조정을 단행해 4,400억 원의 예산을 절감하고 지방채무도 343억 원을 조기 상환했다.”


-국가산단 2.0 추진 계획은.
“신규 산단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국가산단 2.0이라고 이름 지었다. 현재 상황은 국토부에서 후보지를 선정했고, 사업시행자까지 결정됐다. 앞으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타당하다는 평가를 받아야 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게 앵커기업을 유치하는 것이다. 앵커기업이 유치되면 관련된 중소·중견기업들도 함께 들어올 수 있다. 그리고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해서 국가산단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병행해서 창원의 개발제한구역 전체를 해제하는 것도 국토부와 협의해나갈 예정이다. 전국 15개 신규 국가산단 중에서 창원이 제일 먼저 첫 삽을 뜨기 위해서 로드맵을 치밀하게 짜고, 준비를 착실히 해 나가겠다.”


-인구 유출을 줄일 복안은.
“창원은 청년인구 유출이 심각하다.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을 위한 일자리가 부족해서다. 특히 청년들이 선호하는 전문인력 양성학과가 별로 없다. 예를 들면 의대, 약대, 치대, 수의학과도 없고 법학전문대학원도 없다. 그러다 보니까 우수한 지역 인재들이 창원을 떠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국가산단에 필요한 전문 인재 양성·공급 시스템 보완도 시급하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창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은 쉽지 않다. 하반기부터는 창원 또는 경남에 있는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해서 이 부분에 대해서 총장님들과 만나 배우면서 좋은 답을 찾으려고 한다.”


-시민들께 한 말씀.
“정책이 효과를 내려면 정책을 펼치는 사람과 수혜자 간에 정보가 서로 원활하게 오고 가야 한다. 즉 소통이 굉장히 중요하다. 그래서 연초에 5개 구를 돌면서 시민들과 간담회를 하고 시정도 설명했다. 하반기에도 진해지역이라든지 마산지역에 직접 나가서 시민들과 소통할 계획이다. 앞으로 발로 뛰는 행정을 해서 남은 3년의 임기 동안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이동렬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