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이 한국형 'MDA(Maritime Domain Awareness·해양영역인식)' 체계를 구축해 해역 감시 범위를 현재의 4배 이상 확대한다.
해경은 18일 "해양상황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광역 해양감시체계'와 해양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해양정보 융합·분석 플랫폼'을 동시에 추진해 한국형 MDA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각종 해양상황을 실시간 파악해 안보·안전·경제·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예측하는 MDA는 미국과 일본, 싱가포르 등에 구축돼 있다. 최근 미·중 간 해양 패권 경쟁이 가열되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해경이 이번에 추진키로 한 해양감시체계는 경비함정과 해상교통관제(VTS), 항공기, 위성, 중고도 무인기, 수중드론(무인잠수정) 등 감시 자산을 활용한다. 위성과 중고도 무인기 등이 갖춰지는 2030년 가동 예정으로 해경은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028년부터 저고도 위성 수십여 개를 쏘아 올릴 계획이다. 중고도 무인기 도입은 올해 정책연구에 착수한다.
해경은 또 각종 해양정보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통해 분석한 뒤 해양상황을 예측하는 해양정보 융합·분석 플랫폼을 위해 2026년 완료를 목표로 AI 해양경비지원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해양수산부와 해군, 경찰 등이 따로 수집·활용·관리 중인 선박신호와 해양기상 관측 등 해양정보를 통합하는 작업도 착수했다. 국내외 위성을 활용한 해상경계 미획정 해역 등 관심 해역에 대한 모니터링과 위성정보를 분석하고 경비함정 등 현장세력과 공유하는 해양정보융합센터 구축도 추진 중이다.
해경 관할 해역은 국토 면적의 4.5배인 45만㎢다. 현재는 16%에 해당하는 7만2,000㎢만 실시간 감시·경비가 가능하다. 하지만 한국형 MDA 체계가 완성되면 70%(31만5,000㎢)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해경은 전망하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한국형 MDA 구축이 마무리되면 관할 해역에 대한 보다 촘촘하고 정밀한 감시가 가능하다"며 "해양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협 상황을 사전에 인지해 선제적 대응을 할 수 있어 해양 통제력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