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춘천시가 앞으로 4년간 7만개 가까운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재정자립도가 20%대에 그치는 춘천시는 무려 1조원을 투입하면서 갖가지 고용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우수 기업 유치 등 획기적 대책 없이 일용직 위주 일자리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춘천시가 11일 밝힌 민선8기 일자리 대책은 280개 세부 과제로 이뤄져 있다. 4년 동안 6만9,000개 일자리를 만드는 게 골자다. 이를 통해 지난해 상반기 65.8%인 15~64세 고용률을 66.2%까지 상승할 것으로 춘천시는 내다봤다.
춘천시정의 지향점인 첨단 지식산업도시와 연계한 전략이 눈에 띈다. "바이오 산업과 정보통신(ICT), 데이터 산업과 관련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게 시 관계자의 얘기다.
뿐만 아니라 시는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과 지역 내 명소, 자원을 활용한 농촌체험관광 등 향토 기업 성장과 일자리 만들기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도 세웠다. 장애인과 어르신, 취업취약계층의 생계 안정을 위해 매년 75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창업생태계를 구축해 청년들이 꿈을 펼치는 여건을 만드는 것도 춘천시 일자리 정책의 핵심이다. 시는 올해 처음 춘천에서 창업엑스포를 열 계획도 갖고 있다. 춘천시 관계자는 "청년과 중장년 등 계층별, 문화예술과 지역특화산업 분야의 맞춤형 창업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대학과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관련 대책이 노인일자리 사업 비중이 여전히 많은 가운데 일용직 일자리를 만드는데 그칠 경우 효과가 거의 없을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실제 4년간 투입되는 춘천시의 노인일자리 예산은 853억 원으로 취약계층(247억 원)과 청년(100억 원), 신중년(22억 원) 일자리 사업에 비해 많게는 40배 이상 많다.
더구나 경제여건이 녹록치 않다. 이미 지난해부터 금리인상과 자금시장 경색 등으로 기업이 신규 투자에 나서기 어려운 여건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이전 또는 대규모 채용에 나서기는 더욱 쉽지 않다. 혈세를 들이고도 일용직 일자리를 만드는데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시 관계자는 "춘천시정이 추진하는 모든 사업을 일자리 창출과 민생경제 회복에 초점을 맞추겠다"며 "고용의 질 향상에 행정력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