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도 온실가스 흡수원…기후위기 대응 활용 본격화

입력
2022.12.28 12:00

정부가 습지를 활용한 기후위기 대응에 나선다. 그동안 습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보호에 집중했지만, 앞으로는 온실가스 흡수원으로서의 능력을 발굴해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습지보전기본계획(2023~2027년)’을 공개했다.

습지는 온실가스를 자연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주요 자원으로 꼽힌다. 지난 5월 네덜란드·미국 등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습지는 같은 면적의 숲보다 5배, 바다보다 500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저장한다. 지난달 열린 제14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습지의 보전을 결의한 이유이기도 하다.

정부의 제4차 계획도 습지의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 증진에 중점을 둔다. 우선 과학 기반의 습지조사와 연구를 확대한다. 환경부는 약 5년간 내륙습지 생태계의 탄소 배출 및 흡수가치 연구를 통해 탄소흡수 잠재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온실가스 인벤토리상 탄소배출원만 돼 있는 내륙습지를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연안습지에 대해서도 블루카본을 발굴하고 탄소흡수형 해안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블루카본이란 연안에서 서식하는 식물이나 퇴적물이 흡수하는 탄소를 말한다.

습지 생물다양성 보전도 강화한다. 2022년 현재 137.393㎢인 내륙습지 보호지역을 2027년까지 9.17% 증가한 150㎢까지 확대한다. 연안습지 보호지역도 1,497.23㎢에서 1,58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훼손된 습지 복원과 확대에도 나선다. 내륙습지 보호지역 중 사유지는 정부가 매입하고, 인공습지도 조성해 자연적 탄소흡수원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신혜정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