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금리보다 가파르게 치솟는 대출 금리로 속앓이를 하는 중소기업이 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합 경제위기에 따른 중소기업 금융이용 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65%는 외부 자금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 중 대부분은 고금리 여파로 필요한 외부 자금의 절반도 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제조 중소기업은 81.3%가 외부 자금을 쓰고 있고, 비제조업에서도 40.5%가 회사 바깥에서 조달하고 있었다. 주로 종업원 수가 많고, 매출이 높은 회사일수록 외부 자금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종업원 수 10~30명 미만인 회사의 64.8%, 30명 이상인 회사의 74.6%가 외부 자금을 썼고, 매출액 30억 원 미만은 62.5%, 30억~100억 원 미만은 62.7%, 100억 원 이상은 72.2%가 바깥에서 돈을 조달하고 있었다.
문제는 현재 확보된 외부 자금의 양이다. 조사에 응한 중소기업의 23.3%는 외부 자금 조달을 통해 필요한 자금의 0~20%밖에 확보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21~40%도 34.8%에 달했다. 사실상 60% 가까이가 필요한 돈의 절반도 채 확보하지 못한 셈이다. 외부 자금 조달을 통해 필요한 자금의 41~60%를 마련했다는 곳은 21.8%에 그쳤다.
발목을 잡은 건 고공 행진하는 대출 금리다. 중소기업 67.1%가 외부 자금 조달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높은 대출 금리'를 꼽았다. '과도한 서류제출 요구(24.6%)'와 '대출 한도 부족(12.6%)'도 뒤를 이었다. 실제 기준금리 상승 폭은 연초 대비 1.75%에 그친 반면, 중소기업 자금 조달 금리는 같은 기간 2.9%에서 5.1%로 2.2%포인트 상승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소기업 37.5%는 앞으로 금리가 2~3%포인트만 더 올라도 원리금 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23.6%는 3~4%포인트, 25.5%는 4%포인트까지 버틸 수 있다고 했지만, 금리가 1% 미만으로 올라도 원리금 상환이 어렵다는 기업도 6.8%에 달했다.
중소기업들은 현재 가장 필요한 금융 정책으로 '금리부담 완화(46.4%)'와 '기준금리 이상 대출금리 인상 자제(33.6%)' 등을 꼽았다. '신규자금 대출 확대(10.6%)', '대출금 장기분할 상환제도 마련(5%)'도 뒤를 이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대출 금리가 기준 금리보다 가파르게 오르면서 발생하는 리스크는 앞으로 심화될 것"이라며 "중소기업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이자 보전과 저금리 대환대출 등 정부의 적극적 금융 지원과 금융권의 과도한 대출 금리 상승 자제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