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정자 기증 부족에...흑인 여성 "백인 아이 낳아야 하나" 한탄

입력
2022.10.23 19:30
미국서 흑인 정자 기증자, 전체 2%에 불과 
흑인들, '병력 확인' 등 기증 요건 충족 어려워

#미국 교도소에서 교도관으로 일하는 흑인 여성 리스 브룩스는 매일같이 미 정자은행의 온라인 홈페이지를 샅샅이 뒤지지만 돌아오는 건 좌절감뿐이다. 흑인 남성의 정자를 원하지만, 기증자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브룩스는 “지금으로선 백인이나 히스패닉계 등에서 정자를 받아 혼혈 아이를 낳는 방법밖에 없는 것 같다”고 한탄했다.

미 정자은행을 찾는 흑인 여성들의 수가 빠르게 느는 추세지만 정작 흑인 남성 기증자를 찾을 수 없어 이들의 임신 선택권이 크게 제약받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흑인 여성이 같은 인종에서 정자 기증자를 찾는 건 아이가 피부색이나 외모에서 자신과 닮길 원하고, 혼혈을 향한 사회적 차별의 시선도 피하기 위해서다. 미혼이나 동성애자 등 남성 없이 임신해 가정을 꾸리려는 이들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흑인 남성의 정자 기증을 독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미국 사회에서 거세다.

미 정자은행에 접수되는 문의 전화 중 20%는 흑인 여성


2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 정자은행을 이용하는 흑인 여성 수가 최근 급증하는 추세다. 미 정자은행 중 유일하게 비영리로 운영되는 캘리포니아 정자은행의 프로그램 책임자인 케냐 캠프밸은 WP에 “전화 문의 중 약 20%는 흑인 여성”이라며 “출산 보험 혜택의 확대와 함께 흑인 여성들 사이에서 미혼과 동성 커플의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자를 기증하는 남성 중 흑인 비율은 2%에 불과하다. 흑인 여성들이 흑인 남성의 정자를 구하기 어려운 이유다.

한 흑인 여성은 WP에 정자은행 홈페이지에서 100명 이상의 기증자 중 흑인 남성으로 범위를 줄이자 단 3명만 남았다고 전했다. 이마저도 2명은 태아에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는 '거대세포바이러스(CMV)' 보균자였다.

흑인 남성의 정자 기증 비율이 낮은 것은 복합적 원인이 작용했다.

우선 정자은행의 엄격한 정자 기증조건으로 흑인들이 정자를 기증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미 정자은행들은 기증자 조건으로 3세대에 걸친 병력 확인을 요구하고 범죄 사실이 있을 경우 자격을 불허하고 있다. 미국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평균소득이 낮고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떨어지는 흑인 남성들이 정자를 기증하기 어려운 구조다.

정자 기증을 터부시하는 미 흑인사회 문화도 한몫했다. 흑인 여성의 불임 문제를 돕는 비영리기관 ‘브로큰 브라운 에그(Broken Brown Egg)’ 설립자인 레지나 타운센드는 “지금의 젊은 흑인 남성들은 가정을 제대로 돌보지 않았던 아버지 세대를 경험했다”며 “이들은 정자를 기증해 아이를 낳는 게 아버지로서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고 여겨 거부감을 느낀다”고 전했다.

이성 만남 애플리케이션에서 흑인 기증자 찾기도

선택권이 제한된 흑인 여성들은 어쩔 수 없이 틴더(Tinder)나 범블(Bumble) 등 이성 만남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흑인 정자 기증자를 찾는 실정이다. 이곳에선 대리모는 물론 난자나 정자 기증을 제안하는 이들의 프로필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실제 여성 동성애자인 레즐리 픽클링은 이곳에서 흑인 정자 기증자를 찾아낸 끝에 지난해 10월 딸을 낳을 수 있었다. 피클링은 “후회 없는 결정이었다”면서도 "당시 남성이 정자 기증을 약속하며 문서로 증명한 거라곤 성병 검사에서 ‘음성’이라는 결과뿐이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미국 사회에선 흑인 남성의 정자 기증을 늘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어느 때보다 높다. 일부 정자은행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영향력이 큰 흑인 인플루언서를 통해 정자 기증을 독려하거나, 흑인 학생들이 많은 대학교 주변에 정자기증센터를 열기도 했지만 아직까진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캘리포니아 정자은행의 캠프벨은 “동성애자의 정자 기증을 금지한 미 식품의약국(FDA) 규정 같은 장벽들을 허물어야 흑인 기증자를 늘릴 수 있다”며 “흑인 남성들을 향한 적극적인 정자 기증 캠페인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우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