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火葬)을 바라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10명 중 8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 인구는 올해 처음 900만 명을 넘어섰다. 80세를 앞둔 노인 중 일하고 싶다는 이가 과반이다.
29일 통계청이 공개한 ‘2022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선호하는 장례 방법으로 화장을 꼽은 고령자가 81.6%에 달했다. 10년 전인 2011년(56.7%)보다 24.9%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장(埋葬) 선호 비율은 38.8%에서 17.8%로 21.0%포인트 줄었다. 원하는 화장 방법은 시설 봉안(37.9%), 자연장(22.2%), 산ㆍ강ㆍ바다에 뿌림(21.5%)순이었다.
노인 인구는 급속히 늘고 있다. 올해 900만 명 선을 돌파한(901만8,000명) 고령자는 전체 인구의 17.5%다. 3년 뒤인 2025년이면 고령자 비중이 20%를 넘어(20.6%) 한국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하고 있다. 불과 7년 만에 ‘고령 사회(14% 이상이 고령자)’를 지나가는 것인데, 영국(50년)이나 미국(15년)은 물론 일본(10년)보다도 빠른 속도다.
이미 네 가구 중 한 가구(24.1%)가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519만5,000가구)인데, 그중 1인 가구(187만5,000가구)가 3분의 1을 넘는다(36.1%). 고령자 가구도, 1인 고령자 가구도 갈수록 비중이 커질 전망이다. 결혼이 줄고, 그래서 이혼도 드물어지는 사회에서 ‘황혼 이혼’은 예외다. 전체 이혼 건수가 4.5% 감소한 와중에 배우자와 헤어진 65세 이상 남녀는 각각 13.4%, 17.5% 늘었다.
고령자들은 노인 부양이 자식만의 책임은 아니라고 봤다. 가족이 부모를 모셔야 한다는 견해가 38.3%에서 27.3%로 감소한 최근 10년 사이,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함께 부모를 돌봐야 한다는 의견 비중은 37.8%에서 49.9%로 늘었다. 생활비 마련도 자신이나 배우자 몫이다. 작년 기준 부부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가 65.0%에 이른다. 10년간 13.4%포인트 증가했다.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하려면 대부분은 일을 놓을 수 없다. 취업 의사가 있다고 대답한 65~79세 고령자는 54.7%였다. 10년 새 12.1%포인트 늘었고, 이유는 ‘생활비 보탬’(53.3%)이 가장 많았다. 여전히 한국의 은퇴 노인은 가난한 경우가 많다. 2019년 기준 66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에 미치지 못하는 인구의 비율)이 43.2%나 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개 주요국 중 압도적 1위다. 바로 아래가 23.0%인 미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