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못 갚는 '한계기업', 코로나19 이전보다 23%↑

입력
2022.09.13 20:30
13면
한경연, '기업구조조정 제도 개선방안' 보고서 공개
"고금리로 버티기 어려워, 구조조정 활성화 도모해야"


지난해 재무적 어려움을 겪은 '한계기업' 규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에 비해 23.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3일 공개한 '기업구조조정 제도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1년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의한 법률을 적용받는 비금융기업 2만2,388개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한계기업은 2,823개로 집계됐다. 전년인 2020년에 비해 7.8% 늘어난 수치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3년 연속 지속돼, 구조조정이나 사업 재편 등의 필요성이 있는 기업을 뜻한다.

문제는 한계기업이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비해 지난해 23.7%나 늘었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해당 기간 10.1%에서 12.6%로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같은 기간 중소기업에서 증가세(25.4%)가 뚜렷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비중(40.4%)을 차지했고, 증가세로 보면 항공운송업(300%), 음식점·주점업(200%), 음료 제조업(200%) 등의 순이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와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등 세계 주요 거래소와 비교하면 한국의 지난해 전체 상장기업 대비 한계기업 비중(17.1%)은 홍콩증권거래소의 28.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윤경 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학부 교수는 "코로나19 기간 정부 지원과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한계기업 도산이 지연돼 왔다"며 "이젠 고금리에 경기 둔화까지 겹쳐 버티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개별 기업 문제를 넘어 국가 경제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어 "23년 일몰될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을 개선하는 등 제도를 정비해 기업 구조조정 속도를 높여야 한다"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적극적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박관규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