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통신기술(IT)을 활용해 기습적인 폭우에도 도시 침수를 사전에 예측하고 주민들에게 즉각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초기 단계에 산불을 감지해 대응하거나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붕괴 위험을 분석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술도 내놓는다.
정부는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디지털 기반 국민안전 강화방안'을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표했다.
정부는 디지털 혁신 기술을 이용해 우리 사회의 안전관리 역량을 한 단계 도약시킨다는 방침이다. 일터와 생활, 재난 등 3대 안전분야의 디지털 융합 가속화를 통한 재난대응 효율화와 디지털 안전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이번 대책이 마련됐다.
제조현장에서 순간적인 끼임사고를 방지, 즉각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초저지연 이음 5세대 이동통신(5G 특화망) 안전서비스' 등의 과제를 실증한다. 또 건설현장에서 영상센서와 온도, 강도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을 활용하여 건축물 붕괴위험 등을 분석하는 '디지털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 등도 개발할 예정이다.
사각지대 없는 생활 속 디지털 안전망을 구현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과기정통부, 경찰, 소방, 서울시가 협력하여 긴급구조가 필요하나 위치정보시스템(GPS) 추적이 불가능한 실내 긴급상황에서 구조자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 기지국,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신호를 활용한 '실내정밀측위 구축 고도화' 과제를 추진한다.
초광대역 무선기술(UWB)과 GPS를 연계하여, 치매노인·아동 등의 위치추적을 통한 안심귀가와 범죄행위(폭행·납치 등)와 징후(주변 배회 등)까지 탐지하는 지능형 폐쇄회로(CC)TV 고도화 등 안심거리도 구현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자연재해와 같은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기반 위기관리도 강화한다. 과기정통부와 환경부는 하천범람, 도시침수 등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상공간(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홍수 피해를 간접적으로 예측하고, AI가 방류, 대피 등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체계적 대비체계를 5대강을 중심으로 전국에 확산할 계획이다. 또 도시 침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침수 사전 예측체계'를 구축해 주민 사전 대피 등을 지원하고, 지능형 IoT 기반 차수장치 등을 활용한 건물 내 침수 보호 체계도 실증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정책을 통해 디지털 안전 선도 모델이 일터, 생활, 재난 현장에서 안전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국민안전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