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내로라하는 식품 유통 기업들이 식물성(Plant-based) 식품 브랜드를 본격적으로 키우고 있다. 글로벌 시장 규모가 26조 원을 넘는 데다 매년 평균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는 만큼, '식물성 식품이 미래 게임 체인저'라는 판단에 소비자와 접점을 넓히고 있다.
CJ제일제당은 18일 서울 중구 CJ인재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식물성 식품 사업 규모를 2025년까지 2,000억 원까지 성장시키고,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해외 시장에서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식물성 식품은 고기, 생선, 우유 등 동물에서 유래한 모든 재료를 식물성으로 대체한 것이다. 전 세계 인구의 38%가 윤리·종교적 신념의 이유로 채식을 하고, 건강·영양·친환경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며 식물성 식품은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CJ제일제당은 이런 추세를 고려해 관련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는데, 지난해 12월 식물성 식품 전문 브랜드 '플랜테이블'(Plan Table)을 출시하고 비건만두와 김치 등을 선보인 데 이어 이번에는 떡갈비, 함박스테이크, 주먹밥 등을 추가하며 제품군을 확대했다.
정현학 CJ제일제당 식품전략기획 플랜트베이스드팀 부장은 "국내 식물성 식품 사업 규모는 지난해 111억 원 수준으로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미미하다"며 "국내 소비자는 과거 식물성 식품의 경험 때문에 맛에 대한 기대감이 낮았고, 메뉴가 한정적이라는 이유로 식물성 식품을 꺼렸다"고 설명했다.
'맛있는 식물성 대체 식품'의 핵심은 고기를 대체하는 식물성 소재 'TVP'(Textured Vegetable Protein)다. TVP는 대두·완두 등을 배합해 만든 식물성 단백질로, CJ제일제당은 자사 소재의 경우 ①단백질 조직이 촘촘히 엉겨 붙도록 만들어져 조리 후에도 고기의 육질과 육즙을 그대로 만들어내게 했다고 설명했다. 또 ②다양한 제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어 국·탕·찌개 등 한식뿐 아니라 양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 ③고기와 비교해 부족한 맛은 CJ바이오에서 개발한 식물성 차세대 조미 소재 '테이스트엔리치'와 '플레이버엔리치'로 보완했다.
CJ제일제당은 식물성 식품 개발을 위해 인천 2공장에 연 1,000톤 규모의 자체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플랜테이블은 출시 6개월 만에 미국, 일본, 호주 등 20여 개 나라로 수출하고 있다. 앞으로 CJ제일제당은 지속가능한 미래 식량 확보를 위해 버섯 등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단백 및 배양육 연구 개발도 지속할 예정이다.
최근 식품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직접 대체육의 '맛'을 보여주며 소비자의 거부감을 줄이려고 안간힘이다.
신세계푸드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식물성 정육 델리 '더 베러(The Better)'의 팝업스토어를 12월까지 운영한다. 지난해 7월 신세계푸드가 론칭한 대체육 브랜드 '베러미트'의 슬라이스햄 '콜드컷'을 활용한 샐러드와 샌드위치들과 최근 개발한 미트볼, 다짐육, 소시지 패티 등을 선보인다.
16일 방문한 '더 베러'는 일반 샌드위치 델리와 다를 바 없는 모습이었다. 매장 어디에서도 '대체육'이나 '식물성 고기'와 같은 단어를 찾아볼 수 없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베러미트는 지금까지 카페나 급식 등 기업에만 납품했지만, 이번에는 대체육을 '콩고기'로 인식해 거부감을 갖는 소비자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팝업스토어를 열게 됐다"며 "직접 베러미트의 콜드컷으로 만든 음식을 맛본 사람들은 일반 햄을 넣은 샌드위치와 구별되지 않는다며 놀라워한다"고 설명했다.
농심도 식물성 식품 브랜드 '베지가든'을 활용해 5월 말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 파인다이닝 '포리스트 키친'의 문을 열었다. 농심은 "'비건은 맛이 없다는 고정관념을 깼다'는 고객들의 반응을 받으며 6월 한 달간 방문객 1,000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