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계에서 가장 영예로운 상인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39)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한국 고등과학원 교수)가 수학 포기자가 많은 한국 교육 현실에 대해 "학창시절을 공부에 보내는 게 아니라 평가받기 위해 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 명문대에서 강의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한국 학생들은 완벽하게 실수 없이 푸는 것은 훌륭한데, 깊게 공부할 준비는 덜 되어 있다"며 공부에도 여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 교수는 13일 서울 동대문구 고등과학원에서 귀국 후 첫 기자회견을 가진 뒤 필즈상 수상 기념 강연을 진행했다. 이날 언론의 질문은 '한국의 제도권 교육'에 관한 허 교수의 생각에 집중됐다. 허 교수는 미국 국적이지만 초·중·고교와 대학 학부·대학원까지 한국에서 졸업했다.
교육 정책에 질문이 쏠리자 허 교수는 "정말 어려운 문제이고 저는 교육에 있어서는 비전문가이고, 깊이 생각을 해보지 않았다"면서도 "공부보다 평가에 초점이 맞춰진 게 가장 큰 문제로 보인다"고 소신을 밝혔다. 그는 "평가 방향이 유연해져서 학생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좋을 것 같다"며 "모두가 수학을 반드시 잘해야 한다는 스트레스가 줄어들면 순수한 마음으로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육 자체보다는 '경쟁해서 이겨야 하고, 더 완벽해져야 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면서 "학생들이 이런 현실에 너무 주눅 들지 말고 마음이 이끄는 대로 폭넓고 깊이 있는 공부를 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교육정책을 바꿀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어른들이 이런 학생들의 용기가 배신당하지 않도록 좋은 정책의 틀을 짜 주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슬럼프를 극복하는 자기만의 방법도 공유했다. 그는 "일이 잘 안풀리고 마음을 유지하기 힘들 때는 스스로에게 여유를 주고 기다렸으면 좋겠다"며 "남이 독촉해도 힘들지만 스스로를 독촉해도 (힘든 게) 마찬가지라서, 쉴 때는 쉬고 포기해야 할 땐 포기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교육의 혜택을 받은 게 없다'는 일각의 반응에 대해선 "많은 분들이 그런 것처럼 저는 인생 전반기를 그 울타리 안에서 배우며 살아왔다"며 "지금 저를 만든 건 그동안의 경험이고 다른 세계와 다른 길이 있었다면 그건 (지금의) 제가 아닐 것 같다"고 답했다.
허 교수는 첫째 아들(8세)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방법도 소개했다. 그는 "시작한 지 오래되진 않았지만, 아들이 하루에 한 문제씩 문제를 내면 제가 푸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그라미 여러 개를 그리고 몇 개인지 맞추는 방식 정도지만, 놀이처럼 보이는 이 과정도 수학적 사고에 도움이 된다"는 게 허 교수의 생각이다. 그는 "아들이 동그라미 13개씩 10줄을 그렸고, 제가 1초도 생각하지 않고 130개라고 맞추니 다음에는 무작위로 그려서 주더라"며 "곱셈이라는 개념에 자연스럽게 접근하게 된 것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