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실 건축물의 지붕을 장식하던 용머리 장식기와(취두·鷲頭)의 온전한 형태가 확인됐다. 2019년과 지난해 충남 태안군 양잠리 갯벌에서 취두를 발견한 데 이어서 지난달 같은 지역에서 그동안 확보하지 못했던 구성품인 검파(劍把)와 또 다른 취두 상단을 발견한 것이다.
첫 발견 이후 갯벌 일대를 조사해온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검파와 새롭게 발견한 취두 상단을 공개했다. 검파는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장식품으로 연구소가 지난해 6월 인근 지역에서 추가로 발굴한 취두 상하단과 결합된다. 취두 상단은 지난 2019년 갯벌에서 조개를 캐던 주민이 발견한 취두들과 결합된다. 두 취두가 한 쌍을 이뤄서 지붕에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 검파의 발견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소는 검파가 발견되면서 건물 용마루에 올라가는 취두가 온전한 모습을 찾았고, 이로써 조선시대 왕실 마루장식기와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취두 원형이 경복궁 창건기 건물과 숭례문 등 조선 전기 왕실 건축물의 세부 모습을 실질적으로 고증하는 유일한 자료라는 평가도 뒤따랐다.
검파는 40.5㎝ 길이의 칼 손잡이 모양 장식품으로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가 표현돼 있는 점이 특징이다. 취두 상단의 구멍과 결합되도록 짧은 자루가 달려 있다. 검파는 빗물이 취두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용도로 사용됐다. 지붕을 물고 있는 취두의 용을 향해서 더 이상 용마루를 갉아먹지 말라는 의미도 담겼다고 전해진다. 현재 창덕궁 인정문 등 조선 후기 궁궐 지붕의 취두에 일부 남아있는 검파는 문양이 없는 간략한 막대(棒) 모양이다.
취두는 서울의 용산구 일대에서 만들어져 다른 지역으로 수송되던 중 선박이 침몰하면서 갯벌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8월까지 해당 지역에서 추가 발굴조사와 수중탐사를 진행해 다른 유물이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연구소의 김동훈 연구관은 “용산에는 궁궐에 사용하는 기와들을 전문적으로 구워내는 기관인 와서가 있었다”면서 “취두는 와서에서 만들어져 궁궐과 관련되는 삼남 지방으로 이동하던 것으로 보인다. 충청, 전라, 경상 지방의 왕실 관련 사찰이나 행궁 또는 왕의 초상을 모신 전주 경기전 등 왕실과 관련된 건축물에 취두를 사용하려고 했던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