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가 지난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극심한 거래 절벽이 이어지고 있는데, 6억 원 이하 저가 아파트와 현금으로만 살 수 있는 15억 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되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이날까지 나온 서울 아파트 실거래 신고 건수는 7,488건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신고된 건수 2만6,263건에 비해 28.5% 수준으로 급갑했다.
거래는 줄었지만 주택구입 양극화 현상은 도드라진다. 실제 6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2,819건으로 전체 거래량의 37.6%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가격 주택 거래가 30.4%(7,988건)를 차지한 것에 비해 7.2%포인트 오른 수치다. 대출 규제 기조와 최근 계속된 금리 인상으로 비교적 부담이 적은 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15억 원 초과 아파트의 거래비중도 늘었다. 올해 신고건수는 1,288건으로 비중은 17.2%를 차지했는데, 15.7%인 지난해(4,134건) 비중보다 소폭 커졌다. 30억 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비중 역시 지난해 2.2%(579건)에서 올해 4.1%(307건)으로 2배 가까이 뛰었다. 15억 원을 넘는 아파트는 애초 주택담보대출이 불가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부유층이 대출규제나 금리인상의 영향과 무관하게 주택을 매입했다는 의미다.
이에 반해 6억 원 초과 9억 원 이하 거래비중은 지난해 27.9%(7,335건)보다 6.5%포인트 줄어든 21.4%(1,599건)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20%로 줄어드는 9억 원 초과 15억 원 이하 거래 비중은 지난해 25.9%(6,806건)에서 올해 23.8%(1,782건)로 감소했다.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감소 추세와 윤석열 정부의 대출규제 완화 내용 등을 고려해 매입을 미루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대출규제와 금리인상 여파로 거래가 줄은 가운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