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금융권 임직원의 횡령액이 1,000억 원을 넘었지만 환수율은 11%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감독원이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5월까지 금융권 횡령 규모는 1,091억2,680만 원, 횡령 임직원은 174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횡령액은 △2017년 89억8,870만 원 △2018년 55억7,290만 원 △2019년 84억7,370만 원 △2020년 20억8,280만 원 △2021년 152억6580만 원 △2022년(5월 중순 기준) 687억9,760만 원이었다.
올해 횡령액이 지난해에 비해 4배 이상 급증한 것은 최근 우리은행의 ‘600억 원대 횡령사건’이 통계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올해 4월 우리은행은 본점에서 근무하던 직원 A(43)씨가 2012년 10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은행 돈 614억 원을 빼돌린 사실을 적발했다. 이 사건으로 A씨와 그를 도운 친동생 B(41)씨가 이달 24일 재판에 넘겨졌다.
횡령액 역시 은행권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최근 5년간 은행권 횡령규모는 808억3,410만 원(횡령 임직원 91명)으로 가장 컸고, 이어 △저축은행권 146억8,40만 원(7명) △증권업권 86억9,600만 원(15명) △보험업권 47억1,600만 원(58명) △카드업권 2억5,600만 원(3명) 순이었다.
횡령액수가 많았던 금융사는 △우리은행(633억7,700만 원) △KB저축은행(77억8,320만 원) △NH투자증권(40억1,200만 원) △KB손해보험(12억300만 원) △우리카드(2억5,100만 원) 등이다. 우리은행의 횡령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최근 금감원 검사에서 A씨가 옛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천공장 매각 계약금 중 50억 원가량을 횡령한 정황을 추가로 확인하고 검찰에 통보했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횡령액 환수금은 127억1,160만 원으로 전체 횡령액의 11.6%에 불과했다. 저축은행권의 환수율이 5.7%로 가장 낮았고 이어 △은행권 8.4% △보험업권 23.2% △증권업권 43.2% 순으로 회수율이 높았다. 카드업권은 횡령금액을 100% 환수했다.
강 의원은 “현재 금융위원회가 매년 한두 차례 실시하는 금융회사 내부통제워크숍을 분기별로 늘릴 필요가 있다”며 “우리은행 횡령 사건에 대한 현장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대로 된 금융감독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