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와 함께 한국 경제 정책을 책임질 기재부 1, 2차관에 각각 방기선 전 차관보(아시아개발은행 상임이사)와 최상대 예산실장이 내정됐다. 두 사람은 코로나19 확산 과정에서 각각 차관보와 예산실장을 지내면서 팬데믹에 대응한 경제정책, 예산정책을 마련했다.
방 내정자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34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경제정책과 예산 분야에서 두루 업무 경력을 쌓았다. 그는 2016년 기재부 경제예산심의관을 지낸 뒤 2017년에는 정책조정국장을 맡았는데, 조정국장 당시에는 혁신본부 팀장을 겸임하면서 규제 개선, 기업 투자 확대 등에 나서기도 했다.
2019년 기재부 차관보로 임명된 후에는 각종 경제 위기에 대응하는 해결사 역할을 맡았다. 코로나19 확산 초기 ‘마스크 대란’ 해결을 위한 실무 작업을 도맡아 했고, 이후 코로나 피해업종, 피해계층을 위한 금융지원 등 위기 극복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 이에 앞서 2019년 일본 수출규제를 계기로 화두가 된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안정 대책 수립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문재인 정부에서도 차관 후보에 수차례 거론된 바 있지만, 박근혜 정부에서의 청와대 행정관 경력 때문인지 고배를 마셨다.
최 내정자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방 내정자와 마찬가지로 행정고시 34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이후 기재부에서 예산총괄과장을 지낸 뒤 △재정혁신국장 △사회예산심의관 △예산총괄심의관 △예산실장 등 예산·재정 분야의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그는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020년 예산총괄심의관으로, 2021년에는 예산실장으로 일했고, 이 기간 진행된 7차례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은 모두 그의 손을 거쳤다. 예산실장으로 일하던 지난해에는 △소득 88% 국민지원금 △소상공인 손실보상 제도화 △상생 소비지원금(신용카드 캐시백) 등의 사업이 만들어졌다.
이에 앞서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도’를 한국에 최초로 도입했고 △국가가 100% 책임지는 보육 △실업계 고교생 등록금·수업료 전액 지원 △다문화가족 지원 대폭 확대 등 ‘서민희망 3대 예산’을 설계하기도 했다.
두 사람 모두 국장 시절 기재부 노조가 직원 투표를 통해 선정하는 ‘닮고 싶은 상사’에 세 차례 선정돼 명예의 전당에 오른 바 있다. 방 내정자는 ‘상대방의 의견을 귀담아듣고, 다양한 관점에서 사안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갖춘 전문가’, 최 내정자는 ‘온화한 성품으로 직원 의견을 존중해 조직 내 신망이 두터운 상사’라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