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실적 수준을 회복했지만 대외적인 불확실성 탓에 투자 대신 현금을 확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일 ‘100대 기업 코로나19 전후 경영성과 분석’을 통해 이렇게 진단했다. 이 분석은 코로나19 이전(2018∼19년)과 이후(2020∼21년)로 구분, 국내 매출 100대 기업의 실적을 비교했다. 이 분석에 따르면 최근 2년간 매출은 1,666조5,000억 원으로 코로나19 이전 대비 5.8% 늘었고, 영입이익 누계도 130조 원을 기록하면서 5.9% 증가했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호황이었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을 제외해도 매출은 1,228조4,000억 원으로, 이전 대비 3.7%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60조8,000억 원으로 43.4% 늘었다.
투자도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전 대비 149조2,000억 원(8.6%) 증가했다. 다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투자한 63조9,000억 원을 제외한 투자는 오히려 11.4% 감소했다. 실제 전기·전자(18.0%), 정보·통신(14.4%), 의약품(8.3%) 등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트렌드로 수혜를 본 업종은 이전보다 투자를 늘렸지만, 직접적 타격을 입은 유통(-85.1%), 운수·창고(-23.7%), 음식료(-20.1%) 등의 투자는 줄었다.
전경련은 대기업들이 코로나19로 인한 대내외적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좋은 실적을 내고도 빚을 내 현금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이후 100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은 총 244조6,000억 원이고, 투자(189조1,000억 원)와 배당·이자(59조5,000억 원)로 현금 248조6,000억 원을 지출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100대 기업의 총차입금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대비 9.7%(23조7,000억 원) 늘었다. 기업들이 코로나19 이후 벌어들인 수익을 투자와 배당에 지출한 이후, 남은 현금이 충분치 못하자 차입을 늘리고 있다는 게 전경련 해석이다. 실제 지난해 말 기준 100대 기업의 현금성 자산은 총 104조1,000억 원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대비 16.6%(14조8,000억 원) 증가해 이런 분석을 뒷받침했다.
100대 기업의 총차입금에서 현금성 자산을 제외한 순차입금도 지속적으로 증가, 지난해 말엔 164조8,000억 원까지 늘어나면서 최근 5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