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비대면·비접촉 시대 항공보안을 위한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계획은 공항시설·항행안전시설 및 항공기 내에서의 불법행위를 방지하고 민간항공의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수립하는 5년 단위 법정계획이다. 3차 계획에는 '글로벌 수준의 항공보안 선도'라는 비전 아래 △예방적 항공보안체계 구축 △기술혁신 △이용자 중심의 보안검색 서비스 제공 △글로벌 리더십 강화 등 4대 전략과 31개 세부과제가 담겼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5년간 약 3,013억 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는 국가 간 분쟁에 사이버 공격이 활용되고 해킹 기술이 지능화되는 상황에 대비한 사이버 위협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정부 및 유관기관에 분산돼 있는 항공보안정보를 통합하는 동시에 감독활동 및 보안사고 현황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한국형 위험평가·관리시스템(가칭)'도 구축한다.
또 도심항공교통 등 새로운 교통수단에 대한 보안검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5년간 약 499억 원을 인공지능(AI), 테라헤르츠(THz)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보안검색장비 개발에 투자한다. 김포·김해 등 주요 공항에 드론탐지·추적시스템을 구축하고 불법드론을 무력화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항공기 탑승을 위해 실시하는 보안검색은 이용자 중심의 편리한 방식으로 개선하기 위해 보행 상태에서 보안검색이 완료되는 워크 스루(Walk Through) 장비를 개발, 검색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37초→7초)한다. 5년간 1,213억 원을 투자해 노트북이나 액체류 등을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도 검색할 수 있는 첨단 보안장비도 도입한다.
아울러 항공보안 전문위원 활동을 통해 국제기준 수립에 기여하고, 아태지역 개도국 대상 보안기술 공유 및 워크숍 추진 등 항공보안에 관한 리더십 강화와 더불어 국제위상 향상을 도모한다는 계획다. 김용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글로벌 수준의 항공보안을 선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국가 항공보안체계를 확립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