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맞춰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 전력망 보강 계획을 내년 상반기 중 마련한다. 2030년까지 총 78조 원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는데, 정부는 선제적 투자로 전력망을 적기에 확충하고 송·변전설비 건설 지연 문제 해소에 주력하겠단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한전아트센터에서 박기영 2차관 주재로 '전력계통 혁신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전력계통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국전력, 전력거래소 등 공기업·공공기관과 그리드위즈, 두산중공업, 한화큐셀 등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날 잠정적으로 추산된 전력망 투자 규모는 총 78조 원이다. 이는 이미 계획된 송·변전 설비투자액(23조4,000억 원) 및 배전 설비투자(24조1,000억 원)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을 감안한 추가 예상 투자액(약 30조 원)을 더한 수치다. 정부는 2030년까지의 전력망 보강계획을 내년 상반기 중 마련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대규모 풍력발전단지에 대해서는 송전사업자가 공동접속설비를 사전에 구축해 단지 준공 즉시 계통망에 연계하도록 하고, 계획된 송·변전설비의 건설 지연이 지속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근 주민 등에 대한 지원 혜택을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확대되는 재생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전력망을 유연하게 운영해 계통 안정화에도 힘쓸 것”이라고 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한 통합관제시스템도 2025년까지 구축하겠단 게 정부 계획이다. 또 재생에너지 변동성 제어에 필요한 시장 제도의 단계적 도입, 연구개발, 인력양성도 본격 추진한다.
박 차관은 “2030 NDC 이행 및 2050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확대될 재생에너지를 수용하기에는 현재 전력계통이 많은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계획된 송·변전설비 건설이 빈번히 지연되는 문제를 해소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지역별 분산전원 확대, 기술혁신, 효율적 전력시장 개편 등 향후 에너지 정책과 맥락을 같이 하는 최적화된 전력망 투자와 계통 운영 방안을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