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 경제·안보 좌우"…정부, AI·반도체 등 10개 '필수전략기술' 선정

입력
2021.12.22 16:44

정부가 인공지능(AI), 5·6세대(5·6G) 이동통신, 반도체 등 10개 기술을 '국가 필수전략기술'로 선정했다. 미래 첨단산업으로 꼽히는 이 기술들은 국가 흥망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만큼 국가적 역량을 쏟아부어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장관급 중앙행정기관 '국가필수전략기술 특별위원회'도 신설한다.

정부는 22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국가 필수전략기술 선정 및 육성·보호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AI △5G·6G △첨단바이오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수소 △첨단로봇·제조 △양자 △우주·항공 △사이버보안을 글로벌 기술패권 관점에서 집중 육성·보호해야 할 '국가 필수전략기술'로 선정했다.

정부가 이런 조치에 나선 건 미래 첨단산업을 둘러싼 국가 간 기술패권 경쟁이 날로 격화하고 있어서다. 첨단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국가는 글로벌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가령 미중 간 패권 경쟁을 촉발한 '반도체'는 우리나라 수출의 20%를 책임지는 주력산업인데, 지금 수준에 안주해 자칫 경쟁력을 잃기라도 하면 우리의 경제 안보는 바로 휘청이게 된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더구나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이 이미 10개 내외의 전략기술을 선정해 국가 역량을 집중하는 체계를 갖춘 점을 고려할 때 업계에선 오히려 정부 조치가 다소 늦은 감이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10개 기술 중 반도체, 이차전지, 5G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추격자 위치로 기술력이 최고 기술국에 견줘 60~90% 수준인데, 이를 2030년까지 9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게 정부 목표다. 정부 관계자는 "치열한 경쟁구도에서 주도권과 협상력을 갖기 위해선 상대국이 필요로 하는 전략기술 분야의 기술력 확보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방위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이들 10개 기술에 대한 올해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는 2조7,000억 원 수준인데, 이를 내년 3조3,000억 원으로 올리는 등 매년 지속 확대한다. 또 이번 계획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장관급 행정기관인 '국가필수전략기술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국가필수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법률'도 제정해 세제 혜택 등 각종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번 전략을 통해 미래 국익을 좌우할 필수전략기술 분야에 국가역량을 결집, 대체 불가한 독보적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김동욱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