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사회 곳곳에 빠르게 자리 잡으면서 2025년까지 단순노무·서비스업 일자리가 21만 개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면 일자리를 대체하는 키오스크나 플랫폼이 속속 등장하고, 이 추세가 지속되면서 관련 일자리가 점점 줄어든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발간한 ‘코로나 위기가 초래한 고용구조 변화와 향후 전망’ 보고서를 통해 “기술 변화로 인해 2025년에는 단순노무·서비스업 고용 비중이 기존 추세에 비해 0.8%포인트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DI는 코로나19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한 2025년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고용구조를 반영한 2025년을 비교해 일자리 변화를 전망했다. 단 올해 3분기 취업자 수(2,704만 명)는 2025년까지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했다.
비교 결과 단순노무·서비스업 일자리는 코로나19 발생 영향으로 2025년까지 21만 개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전문·관리직 일자리는 7만 개, 공장 생산라인에서 근무하는 반복직무는 14만 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만약 코로나19 사태가 없었다면 전문·관리직과 단순노무·서비스직은 모두 고용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대신 반복직무 직군은 급격한 감소가 예상됐다.
하지만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플랫폼 △인공지능 등이 대면 근로를 대체하면서 단순노무·서비스업 일자리 회복세는 크게 꺾이고, 대신 반복직무 비중 감소 추세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봤다. 기술 발전과 자동화 등으로 반복직무 일자리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였는데, 비대면 사회를 촉진하는 코로나19 사태로 반복직무보다 서비스직 등 대면 업종이 더 큰 타격을 받게 된다는 뜻이다.
산업별로도 비대면 근무가 가능한 고숙련 서비스업 비중은 2025년까지 1.5%포인트 증가하는 반면, 음식숙박업, 도소매업 등 저숙련 서비스업의 고용 비중은 2.3%포인트 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KDI는 이 같은 노동시장 구조 변화로 상대적 취약계층인 단순노무직, 특히 관련 일자리 비중이 높은 60대 이상이 더 큰 타격을 받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단기적으로는 직업 전환이 어려운 고령층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노동수요 변화에 맞춰 노동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직업교육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KDI와 함께 연구를 진행한 엄상민 명지대 교수는 “코로나19 이전에는 자동화 등으로 반복직무가 주로 대체됐지만, 앞으로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은 대면 근로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며 “단순노무·서비스업에는 저숙련 근로자가 많이 종사하고 있어, 경제적 취약계층에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