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중 문제 해소와 수도권 일극체제 전환을 위해 부산·울산·경남을 하나로 묶는 국가 균형발전 전략인 ‘부울경 메가시티’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가발전 전략으로 주목 받고 있다.
부울경 메가시티는 기존 시·도 경계를 넘은 초광역단위 메가시티 발전 전략으로 지역 경쟁력을 높이고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결하는 상생 발전 전략이다.
부산·울산·창원·진주 4대 거점도시를 네트워크로 연결, 생활·경제·문화·행정 공동체를 조성하는 네트워크형 초광역 권역별 도시로 추진되는 부울경 메가시티에 지역민은 물론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한민국보다 수도권 집중이 심하지 않은 세계 각국에서도 일극체제를 다극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은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8개 권역을 만들었고, 프랑스도 레지옹을 절반 수준으로 축소하는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권역별 거점을 새로운 성장축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2000년 이후 제조업에서 지식·서비스 위주의 산업으로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로 메가시티가 차지하는 영향력이 갈수록 확대돼 10여 년 전부터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메가시티가 보다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이 같은 추세에 따라 인구 1,000만명 이상 거대도시인 메가시티가 2018년 전 세계에 33개에서 2030년에는 43개로 늘어 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부산·울산·경남권, 대구·경북권, 광주·전남권, 충청권 등 전국의 각 지역이 앞다퉈 메가시티(행정통합) 논의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다.
메가시티 논의를 주도하고 가장 선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는 경남도는 부울경을 하나의 경제·문화·생활 공동체로 만들어 수도권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동북아 8대 대도시권으로 발전하겠다는 목표를 도정 핵심과제로 정하고 부울경 메가시티를 추진하고 있다.
인구 800만의 부울경을 하나로 묶는 메가시티가 탄생하면 지역 내 총생산액이 276조 원으로 수도권의 3분의 1에 달해 단번에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울산·창원과 서부경남의 진주 등 4개 주요 도시를 거점으로 주변의 중소도시와 중소 도시 인근의 농산어촌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하나의 메가시티를 구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1시간 생활권이 될 수 있는 광역 대중교통망 구축을 통한 공간혁신, 항만 공항 철도를 연계한 동북아 물류 플랫폼과 수소 경제권 등의 부울경 공동협력 사업을 통한 산업·경제혁신, 지역 대학과 기업의 협력을 통한 지역 우수 인재 양성 혁신에 부울경이 함께 힘을 모아나갈 계획이다.
또 공동으로 연계 협력 사업을 집행할 수 있는 행정 기구와 의회에서 추천된 의원들이 참여하는 의회를 구성해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형태로 선(先)운영하고, 이후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장기적으로 행정통합에 이르는 것으로 최종 목표로 한다.
부울경 특별연합 구성을 위한 절차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 기구 구성이 완료됐다. 합동추진단 기구는 1국 2과 6팀, 25명으로 구성되고 부산광역시에 한시기구로 설치돼 이달 말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는 내년 출범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첫 관문인 합동추진단 구성이 완료됨에 따라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도 더욱 본격화될 전망이다.
아울러 의회 차원의 부울경 광역특별연합 설치 의견수렴과 시·도 의회 간 연대 등을 위한 ‘부울경 광역특별연합 설치 특별위원회’를 시도별 의회에 설치할 예정이다.
이처럼 부울경의 행정과 직접 의회가 참여하는 연합형태의 조직을 통해 기존의 협의회 차원과는 달리 공동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사업의 성과를 도출하고 시·도민들과 행정통합의 필요성 등에 대한 공감대를 넓혀나가 장기적으로 행정통합을 이룬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