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사 주범' 심방세동 환자, 술 끊으면 뇌졸중 위험 14% 줄어

입력
2021.06.25 20:40

부정맥의 일종인 심방세동(心房細動·atrial fibrillation)은 심장이 무질서하게 아주 빠르게 뛰는 대표적인 심혈관계 질환이다. 심방세동이 생길 때 재빨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뇌졸중이나 심부전으로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다.

심방세동은 뇌졸중 위험이 일반인보다 5~7배가량 더 높다. 이 때문에 ‘돌연사의 주범’으로 불린다. 전 인구의 2% 정도(100만 명)에서 나타나지만 병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치료율은 매우 낮다.

그런데 심방세동 진단 후 술을 끊으면 뇌졸중 발생 위험이 14%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의근ㆍ이소령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통한 심방세동 환자의 생활 습관 교정과 뇌졸중 발생률을 연구한 결과다.

연구팀은 2010~2016년 6년간 새로 심방세동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술을 계속 마신 3만5,299명과 술을 끊은 1만2,789명을 3년에 걸쳐 뇌졸중 발생 여부를 추적했다. 그 결과, 심방세동 진단 후 금주한 환자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14% 감소했다.

심방세동 환자의 음주가 뇌졸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심방세동 진단 후 금주가 뇌졸중 위험을 줄인다는 것을 확인한 것은 처음이다.

이소령 교수는 “최근 개정된 유럽심장학회 심방세동 치료 지침에서도 심방세동 환자 통합 치료의 한 축으로 금연·금주·운동·적정 체중 유지 등 생활 습관 교정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최근 지침 변화에 발맞춰 환자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 6월호 온라인에 게재됐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