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세율 인상이 코앞에 닥쳤어도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커졌다. 노원구와 강남구 등의 재건축 기대가 큰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면서다. 정부는 하반기 집값 상승을 기대하는 시장을 향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1% 올랐다. 지난주 상승률보다 0.01%포인트 높아졌고 작년 7월 이후 47주 만에 최고치다. 지난달 31일은 올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일(6월 1일) 하루 전이었다.
시장에는 개발 기대감이 팽배하다. 노원구 아파트는 전주보다 0.22% 상승하며 2018년 9월 이후 주간 단위로는 최고치를 경신했다. 강남구도 한 주 사이에 0.16% 오르면서 2019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두 곳 모두 재건축 가능성이 높은 노후 아파트가 밀집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강남구는 개포동과 압구정동 구축 및 도곡동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집값 상승폭 확대는 서울만의 현상이 아니다.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25% 올라 지난주 대비 상승률이 0.02%포인트 높아졌다. 세종 아파트값은 보합 전환하며 지난달 17일부터 2주 동안 이어진 하락세가 멈췄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세종은 높은 매물 가격으로 매수세가 주춤하다"며 "동 지역 및 외곽 지역 모두 관망세를 보이며 하락에서 보합으로 바뀌었다"고 밝혔다.
정부는 호가 중심 시장을 원인으로 본다. 부동산 정책과 시장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거래는 위축된 가운데 호가만 크게 올랐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올해 4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4,194건으로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적었다. 지난달 거래량도 3일 기준 2,792건인데, 거래 신고가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인 점을 고려해도 월간 거래량이 4,000건을 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우려스럽게 보고 있다. 주택 실질가격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수준의 고점에 근접한 데다 미국의 조기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테이퍼링이 본격 시작되면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게 돼 일명 '영끌(온갖 수단을 동원)'해 주택을 구매한 유주택자의 부담이 가중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3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일각에서 이달 시행된 임대차신고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을 이유로 하반기 주택시장이 또 불안해질 것이라는 일방향적인 기대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된다"며 "한 방향으로의 쏠림을 각별히 경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